한의학연 "불면증 전침 치료 효과…150명 임상 시험해 확인"

"불면증 심각 지수 낮아지고 불안·우울 척도도 개선"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이준환 박사 연구팀이 불면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전침 치료의 효과를 임상시험에서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전침 치료는 2곳 이상의 혈 자리에 침을 놓은 뒤 약한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침 자극과 전기 자극을 함께 가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연구원은 국내 4개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과 함께 150명의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침 치료군, 가짜 전침 치료군, 일상 관리군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불면증은 집중력 저하, 두통 등 기능장애는 물론 우울, 불안 등 정신적 문제까지 가져올 수 있는 수면 장애다.

 연구원은 전침 치료군을 대상으로 백회, 인당, 신문, 내관 등 불면증과 관련 있는 10개 혈 자리에 4주 동안 10차례의 치료를 했다.

 가짜 전침 치료군은 혈 자리가 아닌 10곳에 동일한 개수의 침 자극을 주었으며, 일상 관리군은 아무런 자극도 가하지 않았다.

 치료 4주 후 불면증 심각도(ISI)와 수면의 질, 불안·우울 척도 등을 측정한 결과 전침 치료군의 ISI 점수가 치료 전 19.02점에서 치료 후 10.13으로 개선됐다.

 ISI 지수로 보면 0∼7점은 정상, 8∼14점은 가벼운 임상적 불면, 15∼21점은 중등도 임상적 불면, 22점 이상은 심한 임상적 불면으로 분류된다.

 치료가 끝나고 8주가 지난 후 ISI 지수를 측정한 결과 8.02점으로 개선 효과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짜 전침 치료군의 8주 후 개선 효과(19.59점→10.38점)에 비해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보람 한의학연 선임연구원은 "플라시보(가짜 약) 효과와 전 실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면 위생 교육 등 덕분에 가짜 치료군 역시 증상이 호전됐지만, 실제 침 치료군의 개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말했다.

 특히 총 수면 시간과 중간에 깨는 빈도수 등을 종합해 계산한 수면 효율은 전침 치료군이 8.2% 포인트 향상돼 가짜 전침 치료군의 수면 효율 개선율(4.3% 포인트)에 비해 1.9배가량 높았다.

불면증 심각도 지수 그래프

 불안과 우울 척도 역시 개선됐으며, 치료 종료 두 달 뒤까지도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했다.

 한의학연은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법인 전침 치료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