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연 "불면증 전침 치료 효과…150명 임상 시험해 확인"

"불면증 심각 지수 낮아지고 불안·우울 척도도 개선"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이준환 박사 연구팀이 불면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전침 치료의 효과를 임상시험에서 확인했다고 4일 밝혔다.

 전침 치료는 2곳 이상의 혈 자리에 침을 놓은 뒤 약한 전류를 흘려보내는 방법으로 침 자극과 전기 자극을 함께 가해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연구원은 국내 4개 한의과대학 부속 한방병원과 함께 150명의 불면증 환자를 대상으로 전침 치료군, 가짜 전침 치료군, 일상 관리군으로 나눠 실험을 진행했다.

 불면증은 집중력 저하, 두통 등 기능장애는 물론 우울, 불안 등 정신적 문제까지 가져올 수 있는 수면 장애다.

 연구원은 전침 치료군을 대상으로 백회, 인당, 신문, 내관 등 불면증과 관련 있는 10개 혈 자리에 4주 동안 10차례의 치료를 했다.

 가짜 전침 치료군은 혈 자리가 아닌 10곳에 동일한 개수의 침 자극을 주었으며, 일상 관리군은 아무런 자극도 가하지 않았다.

 치료 4주 후 불면증 심각도(ISI)와 수면의 질, 불안·우울 척도 등을 측정한 결과 전침 치료군의 ISI 점수가 치료 전 19.02점에서 치료 후 10.13으로 개선됐다.

 ISI 지수로 보면 0∼7점은 정상, 8∼14점은 가벼운 임상적 불면, 15∼21점은 중등도 임상적 불면, 22점 이상은 심한 임상적 불면으로 분류된다.

 치료가 끝나고 8주가 지난 후 ISI 지수를 측정한 결과 8.02점으로 개선 효과가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짜 전침 치료군의 8주 후 개선 효과(19.59점→10.38점)에 비해 유의미한 호전을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보람 한의학연 선임연구원은 "플라시보(가짜 약) 효과와 전 실험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면 위생 교육 등 덕분에 가짜 치료군 역시 증상이 호전됐지만, 실제 침 치료군의 개선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말했다.

 특히 총 수면 시간과 중간에 깨는 빈도수 등을 종합해 계산한 수면 효율은 전침 치료군이 8.2% 포인트 향상돼 가짜 전침 치료군의 수면 효율 개선율(4.3% 포인트)에 비해 1.9배가량 높았다.

불면증 심각도 지수 그래프

 불안과 우울 척도 역시 개선됐으며, 치료 종료 두 달 뒤까지도 효과가 지속되는 것을 확인했다.

 한의학연은 "한의학의 대표적인 치료법인 전침 치료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입증했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심장 내 승모판 역류증, 성별 따라 수술 시점 달라져야"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은 노화로 인해 심장의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가는 입구에 위치한 승모판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혈액이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심장 판막 질환이다. 역류 현상이 지속되면 심장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심부전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데,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질환 발생 초기부터 사망 위험이 더 높아 성별에 따라 수술 시점을 달리 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김대희 교수,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곽순구·이승표 교수 연구팀은 2006∼2020년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으로 수술받은 환자 1천68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현재 중증 퇴행성 승모판 역류증의 표준 치료는 판막 성형술이나 인공 판막치환술과 같은 수술이다. 수술은 좌심실에 들어온 혈액이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비율을 뜻하는 '좌심실 박출률'을 토대로 좌심실 기능 저하 여부를 판단해 결정한다. 환자에게 뚜렷한 증상이 없더라도 좌심실 박출률이 60% 이하이면 수술을 고려하도록 권고된다. 연구팀이 성별에 따른 좌심실 기능과 사망률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남성은 좌심실 박출률이 55% 이하로 떨어졌을 때만 사망률이 유의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