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 드렁방동사니, 피부세포 보호 효과"…화장품으로 개발

내일 국내 화장품 기업에 특허기술 이전 계약 체결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식물 '드렁방동사니' 추출물이 환경유해물질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관련 기술을 국내 화장품 기업에 이전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초과 방동사니속'에 속하는 드렁방동사니는 주로 남부지방의 논 근처나 습한 경작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식물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8년부터 자생식물 50종을 대상으로 알데히드화합물 등 환경유해물질로부터 피부 보호 효과(안티폴루션 효과)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는데 이번에 드렁방동사니 추출물이 피부세포 실험에서 알데히드화합물에 의한 세포 독성을 절반 이하로 감소시키고 알레르기 유발물질인 히스타민 분비 역시 63% 이상 억제하는 것을 새롭게 확인했다.

 연구진은 지난해 10월 이와 관련한 국내 특허 2건을 등록했으며, 이번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바이오몰레큘스'에 실을 예정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화장품 중소기업인 청담씨디씨제이앤팜, 제이시아, 헤르바바이오 등과 18일 드렁방동사니 특허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서면으로 체결한다.

 이들 화장품 기업은 올해 4월 내로 상용 제품을 출시하고 미국, 일본, 브라질 등으로도 수출할 예정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 생물자원의 산업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국내화장품표준화명칭'과 '국제화장품원료명(INCI)'도 각각 한글(드렁방동사니추출물)과 영어(Cyperus flavidus extract)로 등재했 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