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국상의원 부설요양원, 살리는 요양원 가맹점 모집

걸어서 들어가 죽어서 나온다는 요양원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
운동역학에 특화된 스마트교육으로 살리는 요양원을 표방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단국대학교기술지주회사 산하 단국상의원이 운영하는 ‘휴앤락요양원’이 살리는 요양원의 브랜드를 공유하기로 하고, 가맹점 모집에 나섰다.

 휴앤락요양원측은 걸어서 들어가 죽어서 나온다는 요양원의 부정적 이미지를 탈피, 인지교육과 운동역학에 특화된 스마트교육 컨텐츠로 어르신을 살리는 요양원을 표방하고 나섰다.

 요양원은 산학 협력을 통해 1천여가지의 치매 예방 프로그램과 교구제도를 별도로 제작해 치매단계별 맞춤형 인지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 스포츠대학원 교수진과 운동교육 전문 기업이 개발한 중증 어르신을 위한 운동역학 프로그램을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봉사를 통해 돌봄의 전문성을 보강한다.

 IT기술을 통한 미술, 공예, 퍼즐, 미로찾기, 노래교실, 지능게임 등 스마트 인지 수업이 진행돼 자연스럽게 즐기면서 운동을 유도한다.

 휴앤락요양원의 브랜드 공유 시스템은 까다롭게 운영돼, 예비 창업자는 기초과정 1개월과 심화과정 3개월 등 4개월을 이수해야 자격을 획득하게 된다.

 사업부지에 대한 인허가 평가와 사업성 평가를 통해 적격심사와 면접심사를 통해 최종 가맹요양원 개설심의 허가 절차를 받는다.

 허가를 받은 후에도 실시설계와 금융조달, 건축, 준공, 운영허가, 인력충원, 개원교육, 개원, 운영지원, 평가, 보강교육 등의 체계적인 브랜드 공유 시스템 매뉴얼로 운영된다.

 휴앤락요양원 대표이사 최규동 교수는 “휴앤락이 제공하는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르신들이 휴식과 즐거움을 누리시라는 사회복지 철학으로 브랜드를 만들었다”며 “살리는 요양원으로서 한국을 넘어 세계의 표준을 새롭게 세우고 싶다”고 말했다.

(문의: ☎010-3200-6837, 홈페이지 www.dkscc.com)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
위고비 8개월 만에 40만건 처방…비만치료제 시장 급성장
"제 주변만 봐도 위고비 맞는다는 사람이 여럿인데 전국으로 치면 엄청 많지 않을까요?" 위고비로 대표되는 국내 주사형 비만치료제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 등이 주사형 비만 치료제로 체중을 크게 감량했다는 사례가 언론 등을 통해 잇달아 보도되면서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위고비나 삭센다 같은 비만치료제를 처방받는 사람이 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또 다른 주사형 비만 치료제인 마운자로가 국내에 출시되면서 시장 경쟁은 더 뜨거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위고비가 국내에 상륙한 지 10개월이 지난 지금, 얼마나 많은 사람이 주사형 비만치료제를 이용했을까. ◇ 위고비 처방전 8개월 새 40만건 육박…출시 첫 달 대비 7배 증가 삭센다와 위고비 제조사인 노보노디스크는 각 제품의 국내 매출이나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이는 관련법상 제약사가 제품별 매출 공개를 할 의무가 없는 데다 업체들이 일종의 영업비밀로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노보노디스크뿐만 아니라 다른 제약사들, 특히 외국계는 의약품 매출을 공개하지 않는다. 일종의 영업비밀인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의 내부 수치를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