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 환자 73% '근골격계 질환 치료 목적'…'첩약' 처방은 부담

전체 국민 69% 한방의료 경험…'보험급여 적용 확대' 요구

 지난해 한의원·한방병원 등 한방의료기관을 찾은 환자 열 명 중 일곱 명은 근골격계통 질환을 치료하려 한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포함한 '2020년 한방 의료이용 및 한약 소비 실태조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일반 국민 5천200여명과 한방의료기관 환자 1천800여명, 한방의료기관 및 약국 등 2천800여개소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 기간은 작년 9월부터 올해 2월까지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반 국민의 69%가 한방 의료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이는 2017년 조사 때 한방 의료 경험 비율(73.8%)보다 4.8%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한방 의료를 이용하려는 목적으로는 '질환 치료'가 94.5%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한방의료 이용 목적(복수응답)으로는 근골격계통 질환 치료(72.8%)를 가장 많이 택했다. 이어 염좌나 열상 등 외인이 37.0%, 보약 등 자양강장이 11.7%, 소화계통 질환 치료가 10.3%였다.

 가장 많이 이용한 치료법은 침 시술(91.3%)이었고, 뜸(48.3%)이나 부항(47.8%) 치료를 받은 경우도 많았다.

 한방의료기관에서도 근골격계통에 대한 첩약 조제가 77.4%로 가장 많았고, 보험·비보험 한방제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모두 주로 오적산(46%)이 처방된 것으로 조사됐다.

 가장 많이 소비한 한약재를 살펴보면 한방병원·한의원·약국·한약방은 당귀와 감초를 주로 사용했다. 요양·종합 병원은 황기와 당귀를 많이 썼다.

 미성년자의 한방 의료 경험률은 이번 조사에서 16.9%로 나타나 2017년(22.3%)보다 5.4%포인트 하락했다. 만족도는 2017년 57.6%에서 68.2%로 올랐다.

 일반 국민과 환자들은 비싸다고 생각하는 치료법으로 모두 '첩약'을 가장 많이 꼽아 가장 큰 비용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일반 국민과 환자, 한방의료기관을 가리지 않고 보험급여 적용 범위 확대를 한방 의료분야의 우선 개선사항으로 꼽았다.

 보험이 먼저 적용이 돼야 하는 치료법은 '첩약'과 '한방제제'로 갈렸다. 외래·입원환자와 한방병원·한의원은 '첩약' 치료를, 일반 국민과 입원환자, 요양·종합 병원은 '한방제제' 치료에 적용되기를 보다 희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