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288g 초미숙아 무사히 퇴원…1% 미만 생존한계 극복

서울아산병원 신생아팀, 아이에 153일간의 집중 치료 마쳐

 체중 288g. 손바닥 한 폭에 들어오는 자그마한 아기가 지난 4월 4일 서울아산병원 6층 분만장에서 세상에 첫 숨을 내뱉던 순간 드라마가 시작됐다.

  의료진은 아기가 어서 건강하고 팔팔해지길 바라면서 출생체중 288g을 거꾸로 한 '팔팔이'(882)라는 애칭을 붙여줬다. 국내에서 보고된 가장 작은 아기, 1%도 되지 않는 생존 확률에 도전한 건우의 기적이다.

 출생 직후 스스로 숨 쉴 수조차 없던 팔팔이는 거짓말처럼 소생해 불가능을 희망으로 바꿨다. 심장이 멎는 절체절명의 순간마저 무사히 극복하면서 희망을 확신으로 변모시켰다.

 작은 몸으로 세상에서 가장 용감한 사투를 벌이고 있는 팔팔이를 위해 엄마는 '가장 좋은 약'인 모유를 전달하고자 경남 함안에서 새벽 3시에 출발해 서울로 오는 차 안에서 모유를 유축했다.  

 엄마는 그렇게 다섯 달 동안 1만4천㎞를 달렸다. 엄마는 이제 아이를 품고 집에 돌아갈 수 있게 됐다.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팀(김기수·김애란·이병섭·정의석 교수)은 24주 6일 만에 체중 288g, 키 23.5㎝의 초극소 저체중 미숙아로 태어난 조건우(5개월/남) 아기가 153일간의 신생아 집중 치료를 마치고 지난 3일 퇴원했다고 6일 밝혔다.

 400g 이하 체중의 초미숙아가 생존한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200g대로 태어난 건우는 국내에서 보고된 초미숙아 생존 사례 중 가장 작은 아기로 기록됐다.

 미국 아이오와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초미숙아 등록 사이트(400g 미만으로 태어나 생존한 미숙아)에는 현재 286명의 미숙아가 등록돼 있는데, 건우는 전 세계에서 32번째로 가장 작은 아기로 등재될 예정이다.

 건우는 결혼 6년 만에 선물처럼 찾아온 첫아기였다. '엄마 키 174cm, 아빠 키 191cm인 장신 부모에게서 태어나는 아이는 얼마나 클까?' 많은 이들의 기대와 축복 속에 건강히 만날 날만을 손꼽아 기다렸다.

 그러던 중 임신 17주차 검진에서 청천벽력 같은 말을 들었다. 태아가 자궁 내에서 잘 자라지 않는 '자궁 내 성장지연'이 심해 가망이 없다는 이야기였다.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3월 말 경남 함안에서부터 서울아산병원까지 한달음에 달려왔다.

 당시 태아는 원래 임신 주수보다 5주가량 성장이 뒤처질 정도로 작은 상태였다. 산부인과 정진훈 교수는 아이를 살리고 싶다는 엄마의 간절한 소망을 듣고 태아가 버텨주는 주수를 최대한 늘려보기로 하고 입원을 결정했다.

 엄마는 4월 1일 서울아산병원 고위험산모 집중관찰실로 입원한 후 태아 폐 성숙을 위한 스테로이드와 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황산마그네슘을 투여받았다. 이후 태아가 위험해지는 최악의 상황을 막기 위해 4월 4일 응급 제왕절개로 건우를 출산했다.

 예정일보다 15주, 약 4개월 정도 앞선 24주 6일 만에 세상에 나온 건우는 스스로 호흡하는 게 불가능한 상태였다. 기관지 내로 폐 표면활성제를 투여받은 건우는 다행히 심장이 뛰기 시작했고, 그 길로 신생아 중환자실로 옮겨져 신생아팀의 집중치료에 들어갔다.

 주치의인 신생아과 김애란 교수는 단순히 건우를 살리는 것을 넘어 합병증 없이 무탈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잘 살리자'는 각오를 다졌다.

 의료진과 부모의 의지와 헌신이 통한 덕인지 건우는 고비마다 놀라운 힘을 보여줬다. 장염으로 금식하던 때도 잘 버텨냈고, 태어난 지 한 달 때쯤 심장이 갑자기 멎었던 위기도 극복했다.

 태어날 때 동반했던 폐동맥 고혈압과 미숙아 망막증도 약물로 치료됐고 퇴원 전 진행한 탈장 수술도 문제없이 마쳤다.

 건우가 사투를 벌이는 동안 부모님도 끝없이 헌신했다. 건우 부모님은 아이에 모유를 전달하기 위해 다섯 달 동안 일주일에 한두 번씩 경남 함안에서 서울아산병원까지 왕복 700km 이상 최대 10시간이 걸리는 거리를 오갔다.

 건우는 생후 80일께 인공호흡기를 떼고 적은 양의 산소만으로도 자발적인 호흡이 가능해졌다. 체중도 288g에서 1㎏을 돌파했다. 생후 4개월 중반에는 인큐베이터를 벗어났고 생후 5개월에 다다랐을 때는 체중이 2㎏을 넘어섰다.

 건우 엄마 이서은 씨(38세)는 "건우는 우리 부부에게 축복처럼 찾아온 아이로 어떤 위기에서도 꼭 지켜내고 싶었다"며 "의료진 덕분에 건강한 건우를 품에 안을 수 있게 돼 진심으로 감사한 마음뿐"이라고 말했다.

 이 씨는 "건우가 가장 작게 태어났지만, 앞으로는 가장 건강하고 마음까지도 큰아이로 잘 키우겠다"고 덧붙였다.

 김애란 교수는 "건우는 의료진을 항상 노심초사하게 만드는 아이이면서도 생명의 위대함과 감사함을 일깨워준 어린 선생님"이라며 "미숙아를 가진 많은 가족이 건우를 보며 포기하질 않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내에서 한 해 태어나는 1.5㎏ 미만 미숙아 수는 3천여 명에 달한다. 미숙아는 호흡기계, 신경계, 위장관계, 면역계 등 신체 장기가 미성숙하다.

  출생 직후부터 호흡곤란증후군, 미숙아 동맥관 개존증, 태변 장폐색증 및 괴사성 장염, 패혈증, 미숙아 망막증 등 합병증을 앓게 되며, 재태기간과 출생체중이 적을수록 질환 빈도와 중증도가 높아진다. 치료를 위해 작은 주삿바늘을 사용하더라도 그 길이가 아기의 팔뚝 길이와 비슷해 삽입이 쉽지 않고, 단 몇 방울의 채혈만으로도 빈혈이 발생할 수 있다.

 서울아산병원에서는 최근 3년(2018∼2020년) 동안 총 19명의 500g 미만 초미숙아가 태어났고, 이들의 생존율은 58%다. 지난 2018년 302g으로 태어난 사랑이는 당시 국내에서 가장 작은 아기로 생존 한계에 직면했지만 모든 장기가 건강한 상태로 무사히 퇴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