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 전문의 진료 받으려면 빨간색 로고 찾으세요"

일반 환자 피부과 전문의 병원 구분 오답률 70% 이상
피부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은 간판에 '○○피부과의원'으로 표기
비전문의 병원에서 피부과 진료할 때는 간판에 '○○의원 진료과목:피부과'로

 일반인 대부분은 피부질환을 앓을 때 피부과 전문의에 치료를 받고 싶어하면서도 정작 피부과 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대한피부과학회는 최근 6개월 내 피부 문제로 병원에 방문한 이력이 있는 1천 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9일 밝혔다.

 피부과 전문의는 의사 국가고시에 합격해 1년간의 인턴을 마친 후 피부과를 전공으로 선택해 4년간의 수련 과정을 마치고서 전문의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다.

 이번 조사에서 피부 질환과 피부 미용과 관련한 치료를 어떤 의사에게 받고 싶은지 물었을 때 피부질환은 97%, 피부 미용 문제는 90.6%가 피부과 전문의를 골랐다.

 거의 모든 응답자가 피부과 전문의에 치료를 희망했고, 53.1%(531명)는 피부과 전문의와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구분할 수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실제 피부과 전문의와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을 정확히 구분하는 응답자는 소수에 불과했다.

 구분할 수 있다고 응답한 531명을 대상으로 ▲ 피부과 전문의 자격 구분 ▲ 피부과 전문의 병원 간판 구분 등 두 가지 문항을 추가 설문한 결과, 오답률은 각각 76.8%와 72%를 기록했다.

 실제 피부과 전문의 병원으로 방문했으나 피부과 전문의가 아닌 비전문의가 운영하는 병원으로 아는 경우도 많았다.

  그 이유는 피부과라고 적혀 있으면 모두 전문의 병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72.4%),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의사는 모두 전문의라고 생각하기 때문에(18.4%) 순이었다.

 학회는 약 70% 이상의 응답자가 병원 간판의 표기로 인한 오해를 이유로 내세운 만큼 정확한 구분 방법을 숙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봤다.

 학회에 따르면 피부과 전문의 병원의 간판은 '○○피부과의원'으로 표기하고 있다. 또 간판에 빨간색 바탕의 사각형 안에 흰색 글씨로 피부과 전문의라고 쓰여있는 로고를 사용한다. 병원 입구에서는 대한피부과의사회 인증 마크를 확인할 수도 있다.

 반면 비전문의 병원에서 피부과를 간판에 표기할 때는 '○○의원 진료과목:피부과'로 하게 돼 있다.

 학회는 비전문의 병원에서 간판에 '진료과목'이라는 글씨를 누락하거나 '진료과목'이란 글씨가 눈에 잘 띄지 않게 간판을 제작하는 게 환자의 오인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방의료 붕괴 현실로…수도권-지방 '수명 격차' 13년
사는 곳이 어디냐에 따라 기대수명이 13년이나 차이 나는 현실이 수치로 드러났다. 이는 단순히 통계적 차이를 넘어 수도권과 지방 간에 깊어진 의료 불균형이 국민의 생명권마저 위협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명백한 경고등이다. 서울 서초구의 기대수명은 90.11세에 달하지만, 경북 영덕군은 77.12세에 그친다. 이런 '수명 격차'의 근본 원인으로 의료 인프라의 극심한 지역 편중이 지목된다. 의사와 대형병원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의 필수의료 체계는 붕괴 직전으로 내몰리고 있으며, 이는 곧 지역 소멸을 앞당기는 악순환의 고리가 되고 있다. 3일 국회입법조사처의 분석에 따르면 의료자원의 불균형은 통계로도 명확히 드러난다. 인구 10만 명당 의사 수는 수도권이 211.5명인 데 반해 비수도권은 169.1명에 불과하다. 300병상 이상의 대형병원 역시 수도권과 대도시에 몰려있고, 의료인력의 연평균 증가율마저 수도권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어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벌어지는 추세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중증 질환 발생 시 KTX를 타고 '원정 진료'를 떠나는 것이 당연한 일이 돼버렸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지역 의료의 마지막 보루 역할을 하던 공중보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