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에 국립경찰병원 설립추진…충남도 28일 정책토론회

접근성 개선·거점 국립병원 역할기대…지난해 대통령에게도 건의

 충남도와 지역 정치권이 국립경찰병원 설립을 추진한다.

 도는 28일 아산에 있는 경찰대학교 콘퍼런스홀에서 '중부권 거점 아산 국립경찰병원 설립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연다고 22일 밝혔다.

 토론회를 통해 아산 초사동 일대에 조성된 경찰타운에 국립경찰병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경찰타운에는 연간 3만여명이 상주·이용하는 인재개발원, 경찰대, 경찰수사연수원 등이 들어와 있다.

 토론회 참가자들은 경찰병원 설립 장점과 국립병원이 없는 도내 의료체계, 보건인력 부족, 의료비 역외유출 문제 등도 살펴볼 계획이다.

 현재 국립경찰병원이 서울에 한 곳 있다 보니 비수도권에서는 접근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충남도는 지난해 2월 문재인 대통령에게 아산 경찰타운 내에 500병상 규모의 중부권 거점 국립경찰병원 설립을 건의한 바 있다.

 아산에 경찰병원이 들어오면 접근성이 떨어졌던 비수도권 경찰 공무원들의 병원 이용이 한결 수월해진다.

 경찰타운 내 국유지를 활용하기 때문에 토지 매입비 등의 예산도 들어가지 않는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같은 재난이 발생했을 때 충남지역 거점 병원으로도 활용할 수도 있다.

 토론회에는 양승조 지사를 비롯해 오세현 아산시장, 이명수·강훈식 국회의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서준배 경찰대 교수가 해외 사례를 비교한 '국가 재난 대비 의료대응 시스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오영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보건인력 수급 현황과 대책'을 주제로 각각 발표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 확인"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국내 의료진이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밝혀냈다. 두경부암은 얼굴, 코, 목, 입안, 후두, 인두 등에 발생하는 암을 통칭한다. 강남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 박영민 교수팀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두경부센터 남제현 박사 등과 공동 연구팀을 꾸려 두경부암 발생 전 단계를 실제와 같이 구현한 '3차원 오가노이드(Organoid) 모델'을 개발하고, 두경부암 초기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했다고 최근 밝혔다. 3차원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이용해 체외에서 작은 장기(臟器)와 같이 배양한 세포 구조물로, 우리 몸의 장기가 수행하는 기능과 구조를 비슷하게 만든 입체 조직이다. 두경부암은 주로 인두 등 두경부 내 점막에 있는 편평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된 암은 주변 조직에 공격적으로 침습해 림프절 전이를 일으키고 표준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예후가 좋지 않은 편이다. 이에 연구팀은 편평상피세포에서 시작되는 두경부암의 조기 발생 과정을 파악하는 데 집중했다. 우선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환자 72명의 종양 샘플을 추출·분석한 결과 'MLL3' 유전자 돌연변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