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병원 간호사 75%, 8시간 근무 중 30분도 못 쉬어"

대한간호협회, 중소병원 간호사 실태조사 결과 발표

 병상이 500개 미만인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가운데 4분의 3이 8시간 근무하면서 30분도 쉬지 못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간호협회는 중소병원 간호사 1만4천280명을 대상으로 5월 17∼24일 진행한 '중소병원 교대근무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조사 응답자의 74.7%는 근무 중 식사시간을 포함한 휴식시간이 채 30분이 되지 않았다고 했다. 41.6%는 근무 중 휴식시간이 15∼30분, 33.1%는 15분 미만이라고 답했다.

 이는 하루 8시간 근무 시 1시간의 휴게시간을 보장해야 하는 현행 근로기준법 기준에 크게 못미치는 결과라고 간협은 지적했다.

 또 중소병원 간호사 10명 중 7명은 하루 평균 최대 2시간의 연장 근무를 하는데, 이들 중 절반은 연장근무 수당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휴일에 근무하면 받아야 할 휴일근무수당도 3교대 근무 특성상 외면당하는 사례가 잦았다.

 의사가 해야 할 업무까지 요구받았다는 간호사도 66.2%에 달했다. 환자 수술 부위의 소독이나 관리와 같은 의료시술은 의사의 업무인데도 일부 중소병원에서는 간호사에게 맡기는 사례가 있다는 것이다.

 중소병원 일반병동에서 간호사 1명이 담당하는 환자 수는 평균 25∼3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간호사가 담당하는 환자 수가 지나치게 많고 업무부담이 커 간호사의 이탈을 촉진하고 있다고 간협은 밝혔다.

 간협은 "우리나라는 간호사 배치기준이 연평균 1일 입원환자 수와 허가 병상 수로 규정돼 있으나 앞으로는 일본이나 미국처럼 간호사 1명이 실제 담당하는 환자 수로 개정해야 한다"며 "법정 간호사 기준을 지키지 않는 의료기관에 대해 시정명령과 행정처분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대한간호협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