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린이(골프+어린이) 막 재미 붙였는데…골프장 사고 위험

 코로나19 사태로 최대 특수를 누린 종목으로 꼽히는 골프.

 감염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은 야외 스포츠로 인식된 데다 해외 원정을 떠나지 못한 골프족 수요까지 흡수했기 때문인데요.

 KB자영업분석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골프 인구는 전년보다 약 46만 명 증가한 515만 명으로 추정되며, 구력 3년 이하는 20∼40대가 65%에 달해 새로 유입된 젊은 층이 골프 붐을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죠.

 그런데 일명 '골린이'가 늘면서 골프장 사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는데요.

 실내 연습장을 떠나 처음 접한 필드가 익숙하지 않은데다, 선배 골퍼들에 비해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떨어지기 때문이죠.

 골프 입문자에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유형은 '타구 사고'로 자신이 친 공이 다른 사람을 다치게 하거나 남의 공에 맞아 부상을 입기도 하는데요.

 초보자가 끼어있는 경기는 진행이 지연되면서 앞뒤 팀 간 간격이 좁아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충분한 안전거리 유지가 필수입니다.

 대한골프의학회장을 지낸 서경묵 중앙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동반자가 샷을 할 때 공이 날아가는 방향이 아닌 플레이어 뒤쪽으로 물러서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지정된 장소 밖에서 스윙 연습을 하다가 골프채로 주변인을 가격하거나, 카트로 이동 시 손잡이를 제대로 잡지 않아 튕겨 나오는 일도 잦은 편인데요.

 자칫 실명을 비롯한 중상으로 이어지고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는지라 스스로 주위를 잘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죠.

 특히 동절기에는 주의사항이 추가되는데요.

 골프화 고무징이 닳았다면 교체하고, 바닥에 이물질이 끼지 않도록 신발을 자주 털어야만 언 땅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 살얼음이 낀 워터 해저드에 빠진 공을 줍다가 실족하거나 익사할 위험이 큰 만큼 절대 무리해선 안 되는데요.

 이원태 대한인명구조협회장은 "겨울엔 공이 사방으로 튀어 잃어버리는 일이 빈번한데 (벌타 없이 다시 치는) '멀리건'을 남발하거나 분실구 찾는 데 시간을 쏟지 말고 룰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플레이 중 손목, 어깨, 팔꿈치 등에 인대 손상, 염좌, 골절이 생기거나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초보 골퍼도 많은데요.

 이고은 리셋재활의학과의원 원장은 "추운 날씨에 근육이 경직된 상태로 딱딱한 지면에서 '뒤땅'을 치면 충격이 고스란히 전해진다"며 "몸통을 회전하거나 다리를 흔들고 팔을 휘젓는 동적 스트레칭을 통해 충분히 워밍업해야 한다"고 짚었습니다.

 모자, 목도리처럼 계절에 맞는 복장을 갖추고 핫팩, 온수 등 보온용품을 챙기는 것도 현명한데요.

이원태 협회장은 "캐디 지시를 따르되 미리 초보임을 알리고 도움을 구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귀띔했습니다.

 무엇보다 몸에 이상을 느끼는 즉시 라운딩을 멈추는 것이 중요한데요. 2∼3일이 지나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꼭 병원을 찾아야만 더 큰 부상으로 번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