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견 월 양육비 14만9천700원…평균 1.19마리 양육

 반려동물을 기르는 경우 반려견은 평균 1.19마리, 반려묘는 1.46마리를 양육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월평균 양육비는 반려견 14만9천700원, 반려견 12만5천700원 정도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이런 내용의 '2021년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 16일~10월 8일 전국 20∼64세 성인 5천명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이 중 반려동물 양육자는 1천296명이다.

 반려동물 양육자의 경우 평균 양육 마릿수는 2.83마리이며 종류별로는 물고기가 16.65마리로 가장 많았다. 이어 반려견 1.19마리, 반려묘 1.46마리, 햄스터 1.24마리 등이다.

 반려동물 한 마리당 월평균 양육비는 12만3천500원이다.

 반려견은 14만9천700원, 반려묘는 12만5천700원이며 이 중 병원비는 반려견은 평균 4만2천500원, 반려묘는 4만1천500원이다.

 
반려동물 종류별 평균 양육 수

 반려동물 입양 경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은 경우가 44.3%로 가장 많고 이어 펫숍에서 구입(22.5%),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8.8%) 등의 순이었다.

 유료로 분양받은 반려동물 양육자(548명)를 대상으로 입양 비용을 조사한 결과 펫숍 구입이 평균 49만8천원으로 가장 많이 들었고 민간 동물보호시설로부터의 입양이 31만5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반려동물 양육자를 대상으로 반려동물 양육 포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26.1%가 있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는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가 27.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2.2%), 동물이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함(18.9%), 이사·취업를 비롯한 여건 변화(17.8%) 등의 순이었다.

 
반려동물 마리당 평균 양육 비용(만원)

 동물등록 제도에 대해서는 55.2%가 알고 있다고 답했고 잘 모른다는 44.8%였다.

 동물등록 제도는 동물보호법에 따라 2014년부터 시행된 제도로 주택·준주택에서 기르거나 반려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령 이상인 개는 의무적으로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반려견 양육자 중 동물을 등록했다고 응답한 비율은 71.5%였다.

 외출 시 목줄·인식표 착용 등 반려견 소유자 준수 사항의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반려견 양육자의 경우 준수하고 있다는 응답이 79.5%였다.

반려동물 양육 포기 또는 파양 고려 이유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동물 학대 목격 시의 행동(복수 응답)에 관해 물은 항목에서는 경찰·지자체 등 국가기관 신고가 54.5%로 가장 많았고 이어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 요청(45.5%), 학대자에게 학대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24.2%) 등의 순이었다.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3.1%였는데 그 이유는 시비에 휘말리기 싫어서가 48.8%로 가장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행동 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기대수명 증가로 더 많은 질병 노출…소비자·보험사 준비해야"
고령자 사망률이 개선되고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이 늘어나므로 소비자와 보험사가 이에 적절히 대응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규동 보험연구원 연구위원은 25일 '사망률 개선이 노후 건강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서 "사망률 개선은 수명 연장보다는 노후 건강과 의료비 부담 증가 측면에서 의미가 더 크다"면서 이처럼 밝혔다. 작년 12월 보험개발원이 발표한 10회 경험생명표에서는 남성 평균수명이 86.3세, 여성은 90.7세로 지난 생명표보다 각 2.8세, 2.2세 늘어났다. 경험생명표는 보험사의 통계를 기초로 사망, 암 발생, 수술 등에 대해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해 보험개발원이 산출하는 보험료율의 집합으로, 통상 3∼5년 주기로 개정된다. 연구원에 따르면 고령자의 사망률이 개선되면 연령별 질병 발생률이 동일하더라도 노후에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더 커진다. 여성의 경우 50세 이후 암 발생률이 개선돼 90세 이후에는 개선 폭이 10% 이상으로 확대되지만, 누적 암 발생자 수는 90세 이후에 오히려 증가하는데 이는 사망률 개선 효과 때문이다. 연구원은 "이는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건강수명과 기대수명 차이가 확대되는 현상과 유사하다"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