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소원은 이곳에서 빌어요...관광공사 추천 6곳

 새해를 맞아 한국관광공사가 추천하는 여행지 테마는 '소원을 말해봐'입니다. 정성을 다하면 한 가지 소원은 꼭 이뤄진다는 전설의 장소를 비롯해 바다와 산의 정기를 받으며 염원을 빌 수 있는 명소, 차분하게 마음을 다독여주는 성지 등 6곳을 소개합니다.

 강화도 보문사는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과 함께 국내 3대 해상 관음 성지로 꼽힙니다. 보문사에는 정성을 다하면 한 가지 소원은 꼭 이뤄진다는 전설이 있습니다.

  연초에는 새해맞이 기도를 하려는 인파로 북적거리는데, 특히 눈썹바위 아래 조각한 마애석불좌상(인천유형문화재)이 보문사에서 가장 유명한 기도처로 꼽힙니다. 보문사 아래에는 석모도미네랄온천도 있습니다. 소원을 빈 뒤 몸을 녹이며 생각을 정리할 수 있어요.

 일출 명소로 많이 찾는 속초에는 동해와 설악산을 품고 있는 영금정이 있습니다.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영금정에서 해돋이를 보고, 영랑호수 윗길을 걸으며 설악산의 정기도 느낄 수 있죠.

 충남 당진의 솔뫼성지는 종교를 떠나 누구나 차분히 걷기 좋은 장소입니다. 김대건 신부 생가 뒤쪽으로 빼곡히 자리한 노송나무 숲길을 따라 걸으며 생각을 비워내는 건 어떨까요.

 철새 도래지로 알려진 천수만 북쪽 끝에 위치한 서산 간월암. 손에 꼽는 서해안 낙조 명소지만, 해 뜨는 풍경도 그에 못지않습니다. '달을 본다(看月)'는 이름처럼 달빛 내린 밤 풍경도 서정적이기에 일출과 일몰, 달맞이 여행이 모두 가능해요.

 영양 일월산은 '소원 비는 산'입니다. 경북 일대에서 해와 달을 가장 먼저 맞이하는 산으로, 주봉인 일자봉(1219m) 꼭대기에 해맞이전망대가 있습니다. 태백산맥 줄기 봉우리 사이로 해가 솟아 고즈넉하게 새해를 맞기 좋습니다.

 땅끝마을을 품은 해남 두륜산은 육산의 아늑함과 골산의 스릴을 동시에 즐길 수 있다고 하네요. 산꼭대기에 올라 뻥 뚫린 다도해를 마주하면, 답답한 마음 털어내고 희망을 안고 내려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올것이 왔다"…제약바이오업계, 트럼프 의약품 관세 대응 분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향후 2주 내 의약품에 대한 품목별 관세를 발표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의약품 제조 촉진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의약품 가격과 관련, 다음 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며 "전 세계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이 한국에서 수입한 의약품 규모는 39억7천만달러에 달한다. 미국으로 수입되는 한국산 의약품 중 바이오의약품이 37억4천만 달러로 94.2%를 차지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올해 의약품 수출이 바이오의약품의 지속적인 수요 증가와 미국·유럽 지역에서의 실적 호조로 12.6%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다.하지만 의약품 수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이 관세를 높일 경우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큰 발표',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 등 과격한 표현을 사용함에 따라 높은 관세율이 부과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18일 의약품 관세에 대한 질문에 "25%, 그리고 그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지만 지난달 2일 발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