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내장은 무조건 수술?…"젊을수록 신중히 고려"

서울대병원 윤창호 교수 "경미하면 경과 관찰 먼저"

 지난 몇 년간 국내 수술 건수 1위는 백내장 수술이 차지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의 주요 수술 통계 연보에 따르면 백내장 수술은 2018년 59만2천191건, 2019년 68만9천919건, 2020년 70만2천621건에 달한다.

 2020년 기준 수술 빈도 상위 5개에 포함된 다른 수술(일반 척추 수술·18만8천394건, 치핵 수술·16만9천669건)을 건수에서 압도한다.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윤창호 교수는 "백내장 수술이 주변에 흔한 만큼 이를 쉽게 생각하지만 수술 이후 원하는 만큼 시력이 좋아지질 않을 가능성이 있다"며 수술 여부를 신중히 결정하도록 권했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며 빛을 제대로 통과시키지 못하고 안개가 낀 것처럼 시야가 흐려지는 질환이다.

 윤 교수에 따르면 이 중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인성 백내장'이 가장 흔하다. 외상, 포도막염 감염 등으로 인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윤 교수는 "국내 백내장 유병률은 40대 11.1%, 50대 35.7%이지만 60대는 71.8%, 70대 이상에서는 94.2%까지 올라간다"며 "40대 이후 나이가 들면서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된다"고 소개했다.

 백내장은 이전보다 눈이 침침하고 사물이 뿌옇게 보이는 증상이 있으면 의심해볼 수 있다.

 사물의 색감이 떨어지거나 선명도가 저하되기도 하고 사물이 겹쳐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는 "백내장이 발생한 위치에 따라 증상이 낮에 심한 경우, 밤에 심한 경우가 있다"며 "증상이 진행됨에 따라 안경 도수를 자주 바꿔야 하는 일도 생긴다"고 말했다.

 백내장이 의심된다면 바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진단은 빠를수록 좋지만 수술은 충분한 설명을 들은 뒤 판단해야 한다.

 그는 "경미한 백내장은 수술이 필요 없고 안경으로 굴절 이상을 교정한 뒤 정기적으로 경과 관찰을 하면 된다"며 "안경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백내장이 점점 더 심해지면 그때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수술을 해도 각막, 망막, 시신경 등에 이상이 있다면 시력 호전이 제한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백내장 수술은 혼탁이 생긴 수정체의 내용물을 제거한 후 개인의 시력 도수에 맞는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백내장 수술의 입원 기간은 하루나 이틀 정도로, 주요 수술 가운데 가장 짧다. 하지만 모든 백내장 환자가 수술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윤 교수는 "외상에 의해 발생한 백내장이나 다른 안과적 이상을 동반한 백내장은 인공수정체를 수정체낭(lens capsule) 내에 제대로 삽입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노인성 백내장도 너무 심한 상태에서 수술할 경우 각막부종이 유발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노안을 경험해보지 않은 젊은 환자는 인공수정체가 한 곳에만 초점이 맞기 때문에 수술 후 초점 조절 기능 상실로 불만족을 호소하기도 한다"며 "다초점 인공수정체가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장단점이 있어 수술 전 충분한 상의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백내장 수술만큼 수술 후 관리도 중요하다.

 수술 후 안약을 잊지 말고 잘 점안해야 하고 외출 시 보안경이나 선글라스를 착용해야 하며 잘 때는 플라스틱 보호 안대를 착용해 무의식 중에 눈을 만지지 않아야 한다.

 수영, 과격한 운동, 사우나도 최소 한 달간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마지막으로 윤 교수는 백내장이 대표적 노인성 안과 질환인 만큼 나이가 들면서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없다면서도 예방 수칙을 잘 지켜 발생 시기를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외선, 흡연, 당뇨는 백내장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며 "햇빛이 강한 날은 자외선 차단이 잘 되는 선글라스를 착용하고 혈당을 잘 관리하는 것이 백내장을 예방할 방법"이라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 윤창호 교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고무처럼 늘어나고 금속만큼 전기 잘 통하는 바이오 신소재 개발
고무처럼 잘 늘어나면서 금속만큼 전기가 잘 통하는 첨단 바이오 신소재가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가천대 이태일·경희대 오진영 교수, 미국 로렌스리버모어국립연구원 최원진 박사, 한국기술교육대 채수상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잘 섞이지 않는 두 물질인 고무와 금속을 화학 반응의 경로, 속도 등을 탐구하는 속도론적 방법으로 뇌 주름 형상의 '금속-탄성체 나노 구조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은 고무 탄성체 기판 위에 금속 박막을 증착(蒸着)하는 시스템에서, 고무와 금속 각각 물질의 증착 속도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화학 반응을 통제했다. 고무 분자들의 이동 속도와 증착되는 금속 원자들의 증착 속도 간 상대적 차이를 조절, 나노 니들(nano needle) 형태의 금속 구조체들이 매우 조밀하게 연결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렇게 고무 탄성체 기판 표면에 형성된 금속-탄성체 나노상은 기판과 계면 사이의 큰 기계적 불안정성을 유도해 증착이 끝난 후, 수 시간에 걸쳐 마치 뇌 주름과 같은 형태의 표면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했다. 이는 표면적이 넓어지는 효과를 얻는 동시에 금속-탄성체 나노상 내부의 특이한 나노구조를 통해, 기계

메디칼산업

더보기
"아스피린, 대장암 발병·진행도 예방…면역반응 강화 작용"
항염증과 혈전 억제 등 효과로 많은 사람이 복용하는 아스피린이 면역체계의 암세포 감지 및 면역반응을 강화하는 작용으로 대장암 발병과 진행을 예방해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탈리아 파도바대학 마르코 스카르파 박사팀은 23일 미국암학회(ACS) 학술지 암(Cancer)에서 대장암 수술 환자 230여 명의 조직 샘플을 이용해 아스피린 장기 복용이 대장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스카르파 박사는 "복용한 아스피린은 수동적 확산을 통해 대장에서 상당량 흡수된다"며 "이 연구 결과는 아스피린이 염증 억제라는 고전적 약물 메커니즘 외에 암 예방 또는 치료를 보완하는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인 아스피린이 다양한 암을 예방한다는 연구 결과가 지금까지 다수 제시됐다. 또 아스피린을 매일 장기간 복용하면 대장암 발병률과 사망률도 낮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한 작용 메커니즘은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대장암 수술 환자의 조직 샘플을 이용해 아스피린이 종양 미세 환경과 전신 면역, 암을 둘러싼 건강한 점막에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2015~2019년 대장암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