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D-30에도 정책은 게걸음, 후보들은 시민 요구에 부응하라

곽상도 구속, 대장동 사업의 '뒷배' 규명 속도 내야

한·중관계 민감성 보여준 베이징 올림픽 한복 입장 논란

▲ 국민일보 = 기협 초청 8일 후보 토론회 무산, 국민의힘 책임 크다

중국의 '한복 공정' 유감…정부는 왜 할 말 못하나

김밥 등 외식 물가 13년 만에 최고…서민 경제 파탄 지경

▲ 서울신문 = 거품·네거티브 빼고 미래 책임질 진짜 승부 펼쳐라

확진자 한 명이라도 더 투표 가능한 대책 내놔야

'한복공정' 보고도 無항의 황희, 어느 나라 장관인가

▲ 세계일보 = 새 방역체계도 난맥상, "독감처럼 관리 검토" 시기상조다

대선 한 달 남았는데 또 TV토론 무산시키다니

올림픽 '한복공정' 논란, 中 문화침탈·역사왜곡 중단해야

▲ 아시아투데이 = 대선 TV토론, 국민 알 권리 위해 더 자주 열자

정부, 중국의 문화공정에 할 말은 해야 한다

▲ 조선일보 = "北 도발 규탄"에 '한국만 침묵'은 이번이 마지막이라야

월급 18% 늘 때 세금 39% 폭증, 살림살이 팍팍해진 이유 있었다

사법史에 오점 찍고 떠나는 김명수의 '코드 판사'들

▲ 중앙일보 = 한국 경제, '쌍둥이 적자' 비상등 켜졌다

TV토론 할 때마다 어깃장 놓는 국민의힘

▲ 한겨레 = 'TV 토론' 오락가락하는 국민의힘 볼썽사납다

'50억 클럽' 수사 의지 중요성 보여준 곽상도 구속

올림픽 개막식 '한복' 왜 논란되는지, 중국 알아야 한다

▲ 한국일보 = 대선 D-30, 옥석 가리려는 유권자 열의에 답하라

中 '한복공정' 논란, 분노뿐 아닌 진실 알리는 노력해야

너무 늦은 곽상도 구속…檢 '50억 클럽' 수사 박차를

▲ 디지털타임스 = 역대급 비호감 대선, 그럴수록 눈 부릅뜨고 옥석 가려야

누적 확진자 100만…'이성적' 일상 회복 통로 모색해야

▲ 매일경제 = 오미크론 확산에 원격의료 필요성 다시 생각한다

성남FC 수사 무마 의혹, 공수처가 존재이유 보일 마지막 기회다

물가 고공행진, 대선 주자들 이래도 돈풀기만 주장할 건가

▲ 서울경제 = 대선 D-30, 단일화 매듭짓고 '성장' 심층 논쟁하라

'착한 부채' 정치 구호가 '빚의 복수' 불러온다는 경고

페북의 추락, '기술 없으면 1등 기업도 절멸' 신호다

▲ 이데일리 = 치솟는 물가에 기름 붓는 추경 확대, 뒷감당 누가 하나

확진자 투표권 보장 대책, 혼란 막기 위해 꼭 필요하다

▲ 전자신문 = 공론화 필요한 공공SW 사업비

오미크론 급증, 정상등교 준비돼 있나

▲ 한국경제 = 농업보조금 249개인데 또 '직불금 확대' 공약이라니

"추경 증액 반대는 홍남기 월권"이란 與 주장이 월권이다

미·일·영·불 한목소리로 北 규탄성명…이번에도 빠진 韓

▲ e대한경제 = 대선 D-30, 자질 검증하려면 TV토론 4번으론 부족하다

나랏빚 1000조원인데 여야는 퍼주기 경쟁에만 몰두하나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