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8일 조간)

▲ 경향신문 = 갑질 방지법' 무시하는 구글, 소비자가 '봉' 되는 일 없어야

성별 갈라치던 이준석, 이젠 장애인을 혐오 타깃 삼나

19일 만의 문·윤 회동, 원만한 권력 이양 계기 되길

▲ 국민일보 = 文·尹 회동, 신구 권력 갈등 끝내고 국민 통합 계기되길

경유 2000원 쇼크…서민 대책 마련 시급하다

정부는 코로나 피해 지원 추경에 적극 협조해야

▲ 서울신문 = 대출규제 완화, 악성 가계부채 양산 안 돼야

尹 '실용과 국민 이익 우선', 옳은 방향이다

文·尹 회동 차질 없는 정권이양 출발점 되길

▲ 세계일보 = 지각 회동'하는 文·尹, 더는 국민 실망시키지 말아야

7차 핵실험 카드까지 만지작거리는 北, 제정신인가

정권 바뀌자 3년 만에 '산업부 블랙리스트 수사' 나선 檢

▲ 아시아투데이 = 25년 만의 국내 자동차 공장, 더 짓게 하자

실용주의 강조한 尹, 원전·부동산 대변화 예고

▲ 조선일보 = 코로나 치료제 품귀, 우방국과 '스와프'라도 시도해 봐야

북 ICBM 규탄 반대 시진핑, 사드 추가 배치도 반대 말라

文은 자제하고, 尹은 대국적 자세를

▲ 중앙일보 = '검수완박'과 '본부장 특검'은 민주당 입법 무리수

대통령·당선인 19일 만의 만남…분명한 성과 내야

▲ 한겨레 = 북 ICBM 발사, 미·중·러가 긴장완화 해법 내놔야

이준석 '장애인 시위에 경찰 개입', 여당 대표 자격 없다

19일 만의 문·윤 회동, '국민 불안' 씻는 메시지 기대한다

▲ 한국일보 = 원전 수사 재개…여야, 검찰권 행사 자의적 해석 말아야

재원 벽 부닥친 추경, 신구 권력 머리 맞대라

뒤늦은 文·尹 회동, 안보·민생에 최선을

▲ 디지털타임스 = 고유가에 기업 70% 적자 예상…오일쇼크 수준 대책 서둘라

文·尹 회동, 늦은 만큼 국민 걱정 덜어주는 결과 나와야 한다

▲ 매일경제 = 새 정부 총리인선 국민통합 메시지 담는 게 중요하다

중대재해법 폐해 방치하다 이제야 손질하겠다는 고용부 '뒷북'

문재인·윤석열 때늦은 회동, 이제라도 인수인계 모범 보여야

▲ 브릿지경제 = 文-尹, 통 큰 협치로 아름다운 정권이양 이루길

▲ 서울경제 = 글로벌 정글' 속 가치동맹 이어 경제·기술 협력 강화해야

대만 "군 의무 기간 늘리자"…군 복무 정치적 활용은 안 된다

늦어진 文-尹 회동, 北 도발·경제 위기 공동 대응이 첫 시험대

▲ 이데일리 = 다시 시동 걸리는 차등의결권 도입, 발목잡기 더 없길

정권교체 눈앞 북 ICBM도발, 안보에 신·구 갈등 없어야

▲ 전자신문 = 공급망 불안, 민·관 함께 풀자

과학·ICT 부처 분리 신중해야

▲ 한국경제 = 중노위 "하청업체 노조와도 교섭하라"…파업천국 만들건가

시진핑 "이사갈 수 없는 이웃"…너무 상투적인 립서비스

뒤늦은 文·尹 회동, 권력 교체기 현안 대승적으로 풀어라

▲ e대한경제 = 부동산 정책 개편 예고한 새 정부, 단기적 시장 불안 경계해야

민주 강경파 '尹 본·부·장 특검' 주장은 또 다른 내로남불 아닌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