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영향 수돗물 사용량 줄어…'목욕탕 물' 40% 급감

서울시, 연간 수돗물 사용량 3천만t↓…석촌호수 4.7배

 최근 2년간 서울 지역 연평균 수돗물 사용량이 코로나19 전보다 2.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2020∼2021년 서울시 내 연간 평균 수돗물 사용량은 10억3천491만t으로, 코로나19 발생 전인 2019년(10억6천506만t)과 비교해 3천15만t(2.8%) 줄었다.

 감소량은 석촌호수 담수량(636만t)의 4.7배에 달하는 규모로, 시내 모임 감소와 재택근무 등 사회적 거리두기 영향으로 분석됐다.

 연도별 사용량은 2020년 10억4천543만t, 2021년 10억2천439만t으로 2019년 대비 각각 1.8%, 3.8% 줄었다.

 서울시민 1인당 연간 평균 사용량으로 환산하면 코로나19 이후 3.1t이 감소한 셈이다.

 용도별로 코로나19 전후 연평균 사용량을 비교하면 가정용만 약 2천만t(3.2%) 늘었고, 나머지는 모두 줄었다. 상업·영업 시설에서 쓰는 일반용이 약 3천만t(11.7%), 학교·병원 등 공공용이 약 1천만t(18.5%), 대중목욕탕에서 사용하는 욕탕용이 약 8백만t(40.6%) 각각 감소했다.

 자치구별로 감소 폭이 가장 큰 곳은 오피스 밀집 지역인 중구(-17.0%)였고, 이어 종로구(-11.3%), 강남구(-4.9%) 순이었다. 반면 주거지가 밀집한 강동구(4.6%), 은평구(0.4%) 사용량은 소폭 증가했다.

 올해 들어 1∼2월 수돗물 사용량은 총 1억6천415만t으로, 작년 같은 기간(1억6천239만t)보다 1.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거리두기 완화 지침(위드 코로나)에 따른 일상 회복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서울시는 해석했다.

 구아미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달라진 서울시민의 일상을 수돗물 사용량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일상 회복에 따라 수돗물 사용량도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국내 혁신의료기기 100개 돌파…지정제도 도입 5년만
정부로부터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받은 제품 수가 100개를 돌파했다.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메디팜소프트의 심혈관 위험 평가 소프트웨어(PAPS)가 28일 제100호 혁신의료기기로 지정됐다. 2020년 5월 혁신의료기기군(첨단기술군·의료혁신군·기술혁신군·공익의료군) 특성별로 지정 가치가 높은 제품을 혁신의료기기로 지정하는 일반심사 지정제도가 시행된 지 5년 만에 100개를 넘어섰다. 혁신의료기기는 정보통신·로봇 기술 등 기술 집약도가 높고 혁신 속도가 빠른 분야의 첨단 기술을 적용하거나 사용 방법을 개선해 기존 의료기기나 치료법에 비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현저히 개선한 의료기기다. 식약처는 혁신의료기기를 다른 의료기기보다 먼저 심사하는 '우선심사'와 허가 전 심사받고 싶은 자료를 개발 단계별로 나눠서 심사하는 '단계별 심사' 등을 통해 우대하고 있다. 혁신의료기기 지정부터 제품화 및 시장 진출까지 단계별 1대 1 맞춤 지원도 하고 있다. 5년간 지정된 일반심사 혁신의료기기는 84개였으며, 요양급여대상·비급여대상 여부 확인, 혁신의료기술 평가를 식약처와 보건복지부가 동시에 통합 심사하는 일종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으로 202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