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8일 조간)

▲ 경향신문 = 경제 위기 속 재정 긴축 나선 정부, 사회안전망 포기할 건가

EU의 '원자력 택소노미', 원전 확대 신호 아니다

전 국정원장 수사 등 전방위 사정, 정권 위기 돌파용 안 된다

▲ 국민일보 = 서민 고금리 고통만 키우는 은행과 금융당국 생색내기

국회는 더 늦기 전에 재정준칙 법제화하라

정보 조작 의혹 명백히 규명하되 안보의 정치화는 경계해야

▲ 서울신문 = 6촌 채용·사적 수행 문제없다는 인식이 문제다

고발된 두 전직 국정원장, 오해 없게 철저 수사를

재정적자 40조원대 감축 목표, 꼭 달성해야

▲ 세계일보 = K택소노미도 원전 포함해 유럽 시장 수출 경쟁력 키워야

"적자 GDP 3% 이내", 건전 재정 방향 맞지만 실행이 관건

軍 '밈스'도 서해 공무원 정보 삭제, 조직적 은폐 아닌가

▲ 아시아투데이 = 탈원전 출발은 원전의 택소노미 분류에서 시작

알박기' 인사 논란, '플럼북' 제도화로 풀자

▲ 조선일보 = 소주성' 강행, 통계 조작 주역의 내로남불 궤변

빚으로 돈 풀기' 폐기 尹정부, '재정 준칙' 법으로 정해야

軍·국정원 공무원 첩보 삭제, 그날 靑 심야회의 무슨 일이

▲ 중앙일보 = 김건희 여사 보좌할 '제2부속실' 즉각 설치하길

박지원·서훈 전 국정원장 혐의, 엄정 수사해 진실 밝혀야

▲ 한겨레 = 청소노동자 고통 외면하는 연세대의 '반교육적' 행태

물가급등에 경기후퇴 와도 재정건전성만 앞세울 텐가

국정원 고발·수사, 사정정국 작심한 것 아닌가

▲ 한국일보 = 수도권·지방대 반도체 인력 갈등…정교한 해법 필요

'건전 재정준칙' 공식화, 지출 옥석 가리기 병행돼야

박지원·서훈 檢 수사, 정치적 고려 없이 실체 규명을

▲ e대한경제 = 前 국정원장까지 고발된 '공무원 피격'사건 제대로 규명해야

건전재정, 강력한 재정혁신이 뒷받침돼야만 가능하다

▲ 디지털타임스 = 월북몰이 방조 혐의 朴·북송 제의 徐, 사실이면 중대 범죄다

정부, 건전재정 선언…뼈 깎는 구조조정 없인 필패한다

▲ 매일경제 = 코로나 재확산하는데 비대면 진료 법제화 약속은 어디로 갔나

코인 빚 안갚아도 된다는 서울회생법원의 엉터리 준칙

남아도는 교육교부금 대수술않고 땜질처방 한심하다

▲ 브릿지경제 = 구조적 글로벌 경기침체에 대비해야

▲ 서울경제 = 국민연금, 적자 위기 벗어나려면 구조 개혁 서둘러라

국정원장 일탈 의혹 규명하고 선진정보기관으로 거듭나야

나라곳간 지키려면 정부 먼저 '허리띠' 죄고 대국민 호소하라

▲ 이데일리 = 4년 만에 부활한 K-조선, 고부가화만이 살 길이다

홍장표·황덕순 사퇴, '알박기 기관장' 물갈이 신호 돼야

▲ 전자신문 = 공공 '구조조정' 서민고통 전가 안돼

제조강국' 나노기술에 달렸다

▲ 파이낸셜뉴스 = EU 원전 녹색 분류, 에너지믹스 전략 다시 짜야

나랏빚 1000조원, 무늬만 재정준칙 안된다

▲ 한국경제 = 前 국정원장 월북몰이·강제북송 혐의, 국기문란 차원 다뤄야

민간 전문가와 지방大에서 첫 재정전략회의, 출발 좋았다

5兆 적자 땐 외면하더니…정유사 장부상 이익에 '횡재세' 내라는 여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