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로 피부상태 측정하는 '무선 전자피부' 개발"

 아모레퍼시픽은 무거운 장비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피부 상태를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칩-리스 무선 전자 피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피부 임상 연구를 하려면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한 장소에서 고가의 진단 장비를 활용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특수한 환경에서의 피부 연구 결과는 상대적으로 적을 수밖에 없었다.

 아모레퍼시픽 R&I센터 임상Lab의 한지연 수석연구원은 미국 출장길 비행기 안에서 장소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 피부를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다가 관련 연구를 시작했다.

 이후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김지환 교수팀과 4년간의 공동 연구를 통해 피부에 부착해 무선으로 진단할 수 있는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렸다.

 아모레퍼시픽은 이를 통해 추위나 더위, 건조함을 견디며 특수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의 피부를 손쉽게 진단해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 성과는 설화수 등 아모레퍼시픽의 주요 브랜드에 적용될 예정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 혈액검사…속도·정확도 높여
혈액검사 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속도를 높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혈류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과 적혈구 내부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배열 방향성과 세포 내부 수분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측정해 유전 특성이나 분자 구조 변화 등을 분석하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미세 채널로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분석하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기술을 결합했다. 특히 적혈구 배열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선호 배열 지수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방식은 대부분 정지 상태의 혈액을 분석했기 때문에 적혈구 응집이나 침전 현상이 발생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이론 모델은 적혈구 배열 상태나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임피던스 스펙트럼(저항 범위) 해석에도 제약이 따랐다. 연구팀은 새로운 기술로 적혈구 수·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릿 등 혈액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혈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