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상동맥 재발 예방, P2Y12 억제제가 아스피린보다 효과 크다"

 심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질환(CAD: coronary artery disease)을 겪은 사람들이 재발을 막기 위해서는 P2Y12 억제제 계열의 항혈소판제(클로피도그렐 또는 티카그렐러)를 단독 투여하는 것이 또 다른 항혈소판제인 아스피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베른 대학병원 심장 전문의 마르코 발기밀리 교수 연구팀이 유럽, 아시아, 북미의 492개 의료기관에서 관상동맥 질환을 겪은 총 2만4천3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최근 보도했다.

 이들 중 1만2천178명은 P2Y12 억제제, 1만2천147명은 아스피린이 투여됐다. 치료 기간은 평균 557일이었다.

 전체적으로 심근경색, 뇌졸중,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발생률은 P2Y12 억제제가 투여된 그룹이 5.5%, 아스피린이 투여된 그룹이 6.3%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항혈소판제의 부작용인 주요 출혈(major bleeding) 발생률은 P2Y12 억제제 그룹이 1.2%, 아스피린 그룹이 1.4%로 거의 비슷했다.

 이 두 가지를 종합한 복합변수(NACE: net adverse clinical events) 발생률은 P2Y12 억제제 그룹이 6.4%, 아스피린 그룹이 7.2%로 분석됐다.

 이 연구 결과에 대해 미국 듀크 대학의 중개 심장학 전문의 마네시 파텔 박사는 심근경색, 혈관 성형수술, 관상동맥 우회수술 또는 뇌졸중을 겪은 후 재발 방지를 위해 항혈소판제를 복용해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중요한 연구 결과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이러한 일을 겪지 않은 사람에게까지 이 결과를 꼭 적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그는 덧붙였다.

 P2Y12 억제제 계열에 속하는 클로피도그렐과 티카그렐러는 모두 혈소판 응집을 억제해 혈전을 방지한다. 아스피린도 마찬가지다.

 이 연구 결과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유럽 심장학회(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연례 학술회의(ESC Congress 2022)에서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새로 개발된 항암제와 함께 사용해도 기존 항암제 건강보험 혜택 유지"
내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던 항암제와 새롭게 개발된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게 된다. 그동안은 두 가지 약을 병용하면 보험 적용이 아예 되지 않아 환자들이 치료비 전액을 부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이번 정부의 결정으로 이러한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보건복지부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행정 예고하고 5월 1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번 개정안은 기존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던 항암 치료법과 함께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새로운 항암 치료법을 병행할 때, 기존 약제에 대해서는 종전과 동일하게 건강보험이 적용되도록 명확히 규정했다. 그동안 항암제 병용요법은 이미 보험이 적용되는 약과 새로 사용해야 하는 비싼 신약을 함께 쓰면 전체 치료비가 보험 적용 대상에서 제외되는 구조였다. 이 때문에 많은 암 환자들이 치료를 중단하거나 포기하는 상황에 놓였고, 실제로 보험이 되는 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번 고시 개정은 이런 문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신경세포 파킨슨병 환자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증상 개선 효과 확인
일본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파킨슨병 환자의 뇌에 이식해 안전성과 함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요미우리신문 등 현지 언론이 18일 보도했다. 교토대iPS세포연구소의 다카하시 준 교수 등 연구팀은 2018년부터 파킨슨병 환자 7명의 뇌에 건강한 사람의 iPS로 만든 신경세포를 각각 500만∼1천만개 이식한 결과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안전성만 조사한 환자 1명을 제외하고 치료 효과를 평가한 6명은 이식 세포에 의한 도파민 생성이 모두에게서 확인됐으며 이 가운데 4명은 운동 기능 등 증상이 개선됐다. 이번 임상시험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도 게재됐다. 다카하시 교수는 "환자의 증상 개선을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큰 수확"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치료 기술을 제품화해 대형 제약사인 스미토모파마와 손잡고 1년 이내에 제품 제조 판매 승인을 신청할 계획이다. 알츠하이머처럼 고령자에게 주로 발생하는 파킨슨병은 신경세포가 줄면서 손발이 떨리거나 몸이 경직되는 퇴행성 질환으로, 현재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약으로 증상을 억제하는 수준에 머물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