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료원 연천병원' 설치 요구…취약한 공공의료서비스 해결

 경기 연천군이 취약한 공공의료서비스 문제 해결을 위해 '경기도의료원 연천병원' 설치를 요구하고 나섰다.

 김덕현 연천군수는 "도립의료원의 역할이 공공의료서비스 강화라는 점에 비춰볼 때 최북단 접경지역인 연천군에 도립의료원이 들어서는 것이 합당하다"며 "현 지역 상황을 고려해 도립의료원 전환 배치 또는 설치를 경기도에 적극적으로 요청할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연천군에 따르면 연천군은 종합병원이 없는 데다 병·의원 및 약국이 부족한 상황이다.

 올해 기준 만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28%에 달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연천군에는 응급실은 물론 산부인과 분만실조차 없고, 신서면 등 일부 지역에는 약국조차 없어 고령의 주민들이 일반의약품조차 구매하기 어려워 의료사각지대가 많다.

 연천에서 지역응급료센터까지 가기 위해서는 1시간 이상 걸려 환자를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연천군에는 보건의료원이 있으나 계약 의사 몇 명과 군 복무를 대체하는 공중보건의 중심으로 운영되는 등 병원보다는 보건진료소의 성격이 강하다.

 입원실도 52병상에 불과하고 응급상황이나 고난도 수술 등의 의료행위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연천군은 공공의료서비스 불균형 문제 해소를 위해 도립의료원 설치를 요구하고 있다.

 연천군은 공공의료서비스 강화와 남북 의료서비스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기도립의료원 연천병원 설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기지역 도립의료원은 수원, 의정부, 파주, 이천, 안성, 포천 등 6곳에 설치돼 있다. 북부와 남부 에 각각 3곳씩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자살 고위험군은 도움 요청조차 못해…기다리지말고 찾아내야"
지난해 자살 사망자가 13년 만에 최고치를 찍으면서 정신건강 전문가들이 자살 문제 해결을 더 이상 후순위로 미뤄둘 수 없다는 목소리를 더 크게 내고 있다. 이들은 자살이 우리 사회가 함께 해결해야 가장 시급한 문제라는 걸 인식하고, 무엇보다 소위 말하는 '주류'에서 탈락해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자살 고위험군은 도움을 요청하지도 못하는 절망적인 상태일 수 있으므로 이들을 기다리지 말고 찾아내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 "자살률 증가는 예견된 일"…유명인 자살도 영향 추정 27일 정신건강 전문가들은 지난해 국내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데 대해 예견돼왔던 일이라면서도 한목소리로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통상 자살률은 팬데믹(감염병 대유행)과 같은 재난 상황 직후에는 잠시 떨어졌다가 일정 시간이 흐른 후 되레 다시 올라가는 경향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는 1만4천439명으로 잠정 집계됐다. 2011년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큰 수치다. 특히 30∼50대 남성이 크게 늘었는데, 여기에는 2023년 12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