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마시는 습관' 면역력 높여…"겨울철 호흡기질환 예방에 가장 효과적"

일부 질병 예방효과 규명…한의학계 "자소엽차·진피차·생강차 등 추천"

 올해도 어김없이 동장군이 엄습했다. 이럴 때 면역력이 떨어지면 코로나19와 독감 등은 물론 기침, 콧물, 두통, 인후통 등의 각종 호흡기질환에 시달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한의학계에 따르면 한방에는 '정기존내(正氣存內), 사불가간(邪不可干)'이라는 표현이 있다. 내 몸 안의 기운(면역력 등)이 튼실하면, 사기(바이러스 등 외부 병인)가 감히 몸을 병들게 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마찬가지로 내 몸 안의 방어력을 강화하는 게 겨울철 호흡기질환을 예방하는데도 가장 효과적인 방법일 것이다.

  이중 차 마시기는 한방뿐만 아니라 서양에서도 면역력을 키우는 생활 습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차(Tea)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말린 후 우려서 마시는 음료를 통칭하는데, 오늘날 동서양을 막론하고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마시고 있는 음료 중 하나다.

 역사적으로 보면, 차를 마시는 건 건강과 치료의 목적이 컸다. 과학이 발달한 요즘 들어서는 폴리페놀, 카테킨과 같은 차의 주요 성분들이 질병을 예방하는 등의 다양한 효능을 내는 것으로 밝혀지는 추세다.

 국내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영양 진보'(Advances in Nutrition, 2020년)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녹차와 홍차 등의 차 섭취와 관련해 전세계에서 발표된 64개의 연구논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 25개 암 중 구강암, 위암, 대장암, 간암 등 11개 암에서 발생률을 유의하게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각종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겨울철에 즐길만한 차를 소개해본다.

 ◇ 자소엽차

 자소엽(紫蘇葉)은 성질이 따뜻하면서 맛이 신 약초로, 한의학에서는 감기 증상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한약재로 오랫동안 사용됐다. 모양이 깻잎과 비슷한 차조기라는 식물의 잎을 말려 우려먹는 방식이다.

 한방에선 이 약초가 오한과 기침이 나는 감기 증상에 효능 있다고 설명한다.

 강동경희대병원 한방내과 박재우 교수는 "자소엽차를 마시면 땀을 내 오한이 풀리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평소 소화 기능이 약하면서 감기가 자주 오는 사람에게 좋다"고 말했다. 만약 가래와 기침이 심하다면 도라지를 같이 넣어 우려 마시면 더 효과적이라고 박 교수는 덧붙였다.

 ◇ 생강차

 생강은 성질이 따뜻하면서 맛은 아리고 신 편이다. 찬 기운에 노출돼 오한이 들면서 목이 아프거나 기침, 가래가 생기고 두통이 오는 감기 증상에 효과적이다. 게다가 생강은 구토 등 소화장애 증상에도 효능이 있다.

 만약 오한이 심하다면 계피와 함께 우려내 마시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생강의 아린 맛 때문에 위장에 자극이 있다면 꿀을 섞어 마시면 증상이 덜해진다.

 박 교수는 "평소 몸이 차고 냉하다면 생강을 말린 '건강'(乾薑)을 사용하면 그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