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시경용 장 세척제, 알약형이 액체형보다 선종 발견율 높아"

 물에 섞어 마시는 장 정결제(장 세척제) 대신 알약으로 제형을 바꾼 장 정결제가 대장내시경에서 대장암으로 발달할 위험이 있는 용종의 발견율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의학계에 따르면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소화기내과 연구팀은 한국팜비오의 알약형 장 정결제 '오라팡'과 물에 섞어 마시는 기존 장 정결제를 복용한 환자를 비교한 결과 오라팡의 장 정결도가 더 높아 용종과 선종을 더 잘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최근 국제학술지 '소화기학과 간장학 저널'에 발표했다.

 장 결정제는 대장내시경 시술 전에 장에 든 이물질을 비워내는 약물이다. 액체에 섞어 마시는 장 정결제는 2ℓ 이상을 마셔야 하는 데다 특유의 맛과 향 때문에 메스꺼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아 검사 편의를 떨어트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오라팡정은 저용량 장 정결제인 경구용 황산염 액제를 알약 형태로 만들어 복용 편의를 높인 개량신약이다.

 연구팀은 2019년 3월부터 2021년 2월까지 대장내시경을 시행한 65세 미만 환자 중 기존 장 정결제로 주로 쓰인 폴리에틸렌글라이콜(PEG) 제제를 복용한 9천199명과 오라팡을 복용한 7천772명을 비교했다.

 지난 2019년 오라팡이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아 출시되면서 출시 이전 PEG 제제를 복용한 환자와 출시 이후 오라팡을 복용한 환자 간 비교가 가능해졌다.

 분석 결과 오라팡의 장 정결도는 97.2%로 PEG 제제의 95%보다 높았다.

 용종 발견율에서도 오라팡이 56%로 PEG 제제의 50.8%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대장암 발달 위험이 높은 선종 발견율도 오라팡이 34.5%, PEG제제가 30.7%로 높았으며, 내시경에서 쉽게 발견되지 않는 톱니형 용종 발견율에서도 오라팡이 5.2%로 PEG 제제의 3.3%보다 높았다.

 안전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부작용 중 하나로 혈액 내 칼슘이 정상치보다 낮아지는 저칼슘혈증 발생 비율은 오라팡이 1.9%로 PEG 제제의 8.9%보다 나았다.

 반면 혈액 내 요산 농도가 높아지는 고요산혈증 발생 비율은 오라팡이 15.9%로 PEG 제제의 9.9%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팜비오 관계자는 "오라팡은 대장암 진단과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며 "오라팡은 고용량 장 정결제 복용을 힘들어하는 환자에게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