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아, 음성에 담긴 감정 읽지 못해"

 사람은 자기 마음을 말로 표현하지 않고 음성의 톤(tone of voice)으로 대신 할 때가 있다. 그것이 실제 말보다 감정을 더 잘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autism spectrum disdorder) 아이들은 음성 속에 담긴 감정을 읽지 못한다.

 ASD 아이들은 감각 정보를 잘 처리하지 못한다. 그래서 밝은 형광 불빛, 특정 직물의 감촉 또는 시끄러운 소리를 참지 못한다. 방 안에 가득한 아이들이 생일 축하 노래를 불러주는 것도 그들에겐 부담일 수 있다.

 ASD 아이들이 음성에 담겨있는 감정에 반응하지 않는 이유가 밝혀졌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 의대 정신의학과 전문의 대니얼 에이브럼스 교수 연구팀은 ASD 아이들이 음성에 담긴 감정을 읽지 못하는 것은 청각의 문제가 아니라 청각 정보가 사회적 소통에 관여하는 뇌 부위에 전달되는 방식이 보통 아이들과 다르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ASD 아이들 22명(7~12세)과 같은 연령대의 정상 아이들 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말했다.

 이 두 그룹의 아이들에게 연구팀은 "가방이 하나 방에 있다"와 "내 숟가락이 식탁 위에 놓여 있다"는 두 가지 간단한 말을 녹음해서 여러 차례 들려주었다.

 다만 이 말을 ▲평범한 어조 ▲즐거운 어조 ▲슬픈 어조 등 3가지 음성으로 녹음해 들려주면서 아이들에게 이 3가지 음성에 담긴 감정을 느낄 수 있느냐고 물었다.

 정상 아이들은 3가지 음성에 담긴 감정을 잘 구분했으나 ASD 아이들은 어려워했다.

 연구팀은 이어서 이 3가지 녹음 음성을 들려주면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RI)으로 이 아이들의 뇌 활동을 실시간 관찰했다.

 그 결과 ASD 아이들이나 정상 아이들이나 청각을 담당하는 뇌 부위는 음성에 같은 반응을 보였으나 ASD 아이들은 청각 정보가 사회적 소통을 담당하는 부위인 측두-두정엽 접합부(TPJ: temporoparietal junction)에 전달되는 방식이 정상 아이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ASD 아이들은 뇌의 청각 중추와 TPJ 사이가 '과연결'(over-connection) 상태가 돼 음성 속에 담긴 감정을 읽지 못하는 것 같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에 대해 자폐증 과학 재단(Autism Science Foundation) 연구실장 알리시아 핼러데이 박사는 ASD 아이들이 음성에 담긴 '감정의 꼬리표'를 해독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밝혀진 것은 매우 소중한 발견이라고 논평했다.

 따라서 ASD 환자와 대화를 나누면서 자신의 억양이 너무 밋밋하다고 느껴질 때는 상대방이 더 잘 알아듣도록 음성을 높이거나 음성에 활력을 불어넣으려 애쓸 필요가 없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ASD 환자가 음성에 담긴 신호에 반응하지 않는 것은 "말을 귀담아듣지 않거나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이 새로운 발견은 언젠가는 ASD 환자가 음성에 담긴 신호를 잘 해석할 수 있는 치료법을 개발하는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그는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생물정신의학 학회(Society for Biological Psychiatry) 학술지 '생물정신의학: 인지 신경과학·신경영상(Biological Psychiatry: Cognitive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요양시설 결핵환자 치료·간병 지원 시범사업 5월부터 시작
질병관리청은 요양병원, 요양원 입소자 중 전염성 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국립결핵병원에서 치료·간병을 통합 지원하는 시범사업이 5월 1일 시작된다고 26일 밝혔다. 국립결핵병원은 결핵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질병청 소속 의료기관으로, 현재 국립마산결핵병원과 국립목포결핵병원이 있다. 이번 시범사업은 요양이 필요한 고령 결핵환자의 진료 부담을 경감하고, 결핵의 치료 성공률을 높이고자 마련됐다. 시범사업 지원 대상은 부산·울산·경남 및 호남 지역 요양병원·요양원 입소자 중 전염성 결핵으로 진단된 후 보호자가 국립결핵병원으로의 전원 치료에 동의한 환자다. 부산·울산·경남 지역 대상자는 국립마산결핵병원으로, 광주·전남·전북 지역 대상자는 국립목포결핵병원으로 각각 이송돼 치료받을 수 있다. 시범사업 참여자는 결핵의 전염성이 사라질 때까지 입원 치료비와 간병비, 식비를 무료로 지원받는다. 질병청에 따르면 국내 노인 인구가 늘어나면서 결핵 환자 중 고령자의 비율이 높아지고, 요양병원과 요양원 등 요양시설 입소자에게서도 결핵 환자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국내 결핵 환자의 57.9%는 65세 이상이었다. 요양병원, 요양원에서 결핵 환자가 발생하면 약 2주에서 두 달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만 9~18세 학교 밖 청소년 무료 건강검진 항목 17→26개로 확대
여성가족부는 학교 밖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건강검진을 연중 운영한다고 28일 밝혔다. 국민건강보험공단 및 전국 222개 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꿈드림센터)와 진행하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은 이들이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는 것을 돕기 위해 2016년부터 시행됐다. 만 9세 이상 만 18세 이하 학교 밖 청소년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3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다. 만 19세 학교 밖 청소년은 다른 국가건강검진과 중복되지 않았다면 지원이 가능하다. 올해부터는 건강검진 기본 항목이 기존 17개에서 중성지방, 피부병, 귓병, 콧병, 목병, 피부병, 허리둘레 등이 추가돼 26개로 확대된다. 지난달 학교밖청소년법이 개정되면서 지원 근거도 마련됐다. 검진에서 치료가 필요하다고 나온 저소득층 학교 밖 청소년은 가까운 시군구청을 찾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을 신청하면 의료비를 받을 수 있다. 검진받고 싶은 청소년은 꿈드림센터를 방문하거나 우편 또는 이메일로 신청하면 된다. 여가부는 학교 밖 청소년 건강검진을 널리 알리기 위해 홍보 포스터 1천544부와 소책자 5만4천300매를 제작해 꿈드림센터, 청소년쉼터, 대안교육기관 등 635개 기관에 배포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