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한의학에 AI 적용', 대전대 한의대, 교육 모델 개발

우석대·원광대·영남대 공동 연구…국제 학술지 게재

 대전대는 한의과대학 한상윤 교수 등 공동 연구진이 한의대생들을 위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질환-변증 통합교육 모델 'Gen-SynDi'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우석대 이승호 교수, 원광대 이원융 교수, 영남대 한예진 교수가 함께했다.

 Gen-SynDi는 대규모 언어모델(LLM)에 한의학 임상 전문가의 지식을 정제한 프롬프트로 적용, 가상환자 생성과 진단 학습이 가능한 AI 기반 교육 시스템이다.

 이를 학생 실습에 적용한 결과, 질환-변증 학습 동기와 진료 수행 자기효능감이 유의미하게 상승해 교육 효과를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한상윤 교수는 "한의학교육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임상 역량 강화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AI로 실질적인 변증 사고력과 진단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을 혁신할 수 있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Gen-SynDi의 교육 대상 임상 표현형을 확대하고 웹 기반 플랫폼으로 고도화해 한의학 교육의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계획이다.

 AI 기술과 전통 한의학 교육 융합 가능성을 제시한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기술 논문 추가 인용 색인(SCIE) 급 국제학술지 '응용과학(Applied Sciences)'에 게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지부, 新의료기기 '시장 즉시 진입' 기준·절차 마련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새로운 의료기기가 곧바로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시장 즉시 진입 의료기술' 제도 도입을 앞두고 정부가 그 기준과 신청 절차 등을 마련했다. 보건복지부는 별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없이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의료기기 대상과 신청 절차 등이 담긴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일부 개정안을 최근 입법 예고했다. 신의료기술평가는 새로운 의료기술이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절차다. 안전성·유효성을 검증받은 뒤 의료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신설, 올 하반기에 도입하겠다고 밝혔다. 이번에 입법예고된 개정안에서는 해당 제도의 대상과 신청 절차를 규정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국제적 수준의 임상 평가를 거친 의료기기를 사용하는 의료기술은 시장에 즉시 진입할 수 있는 대상이 된다. 식약처의 의료기기 허가 단계에서 복지부와의 협의를 거쳐 새로운 의료기기 품목으로도 공고된다. 신의료기술평가 유예를 원하는 기업 등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이미 등재된 의료기술인지를 확인해달라고 신청하고,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즉시 시장에 사용 가능케 한다는 내용도 개정안에 담겼다. 해당 의료기기가 비급여로 시장에 진입한 후에도 환자 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