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 해제' 조심스럽고 어색…'마스크 수업' 여전

대부분 마스크 써…유치원·학원도 그대로
"마스크 탓 얼굴 모르는 친구도 있어"…일부 기대도

 

 30일부터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됐지만 서울 시내 일선학교에선 학생 대다수가 마스크를 쓴 채로 등교하는 모습이었다.

 이날부터 학교 교실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되지만 현장에서는 아이도, 부모도 '당분간 쓰고 다니겠다'는 분위기다.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괜찮다는 말에도 아이들은 선뜻 마스크를 벗지 못하며 어색해했다. 동시에 마스크를 벗게 돼 '드디어' 친구들 얼굴을 볼 수 있게 됐다는 설렘도 감돌았다.

 ◇ 대부분 마스크 쓰고 등교…"이미 습관"

 이날 오전 8시37분께 서울 동작구 대림초등학교 앞에서 만난 두 딸 아이의 엄마 박순애(42)씨는 "애들은 (마스크 쓰는 게) 습관이 돼서 당장은 크게 바뀌지 않을 것 같다"면서 일단 마스크를 씌워 등교시켰다고 말했다.

 등교하는 학생 중에서도 마스크를 벗은 아이는 찾기 힘들었다. 약 30분 동안 단 한 명이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등교했지만 이 학생도 "실내에서는 쓰겠다"고 했다.

 이 학교는 일단 마스크를 착용하고 등교하라고 학부모에게 공지했다.

 한철수 대림초등학교 교장은 "정규 수업 이외에 다 같이 교내 식당으로 이동하는 등 마스크를 써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어서 일단 마스크는 가져오고, 이왕 가져올 거면 쓰고 오라고 공지했다"고 설명했다.

 다른 학교도 비슷한 모습이었다.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원칙적으로 해제됐지만 예외가 적용되는 상황이 적지 않다 보니 마스크를 벗고 등교하는 학생은 많지 않았다.

 서울 광진구 광장초등학교에 다니는 최현서(13)양은 "엄마 아빠가 위험할 수 있으니 마스크 쓰고 등교하라고 했다"며 "교실에서도 쓰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중구에 있는 덕수초등학교 3학년생 학부모 정모(47)씨도 "식당이나 카페에서는 어차피 마스크를 벗지만 아이들이 있는 곳은 시기상조인 것 같다"며 "우리 아이는 이미 습관이 돼서 오히려 더 마스크를 잘 챙겨서 쓰고 다닌다"고 했다.

 광장초등학교에선 통학버스를 내린 뒤에도 학생들은 마스크를 계속 쓰고 있었다.

 ◇ 어린이집·유치원·입시학원도 "아직은…"

 어린이집과 유치원 역시 부모 대부분이 아이에게 마스크를 씌워 보냈고, 입시학원에 등원한 수험생도 마스크를 벗은 경우는 드물었다.

 서울 노원구 온누리유치원에 아이를 데려다준 이광우(42)씨는 "(마스크는) 쓰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아직 모든 게 명확하지 않으니 대비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여의도의 한 직장어린이집에 아이를 보낸다는 이상민(46)씨도 "실내 마스크 해제 뉴스는 봤지만 일단 씌운 채로 들여보냈다"며 "감염 우려는 크게 없지만 얼른 벗는 게 좋겠다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초구 반포동 한 국공립 어린이집 앞에선 어린이 대부분이 마스크를 쓴 채로 등원했다. 부모님 자가용에서 '노 마스크'였던 아이도 2명은 어린이집 현관 앞 신발장에서 마스크를 쓰고 들어갔다.

학원에서도 당분간 마스크 착용 지침을 유지할 계획이다.

 강북종로학원 정기수 원장은 "수험생이 함께 오랜 시간 머무르기 때문에 한 명이라도 확진되면 다른 학생들에게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며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당분간 착용을 유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종로구에서 영어 학원 강사로 일하는 권모(44)씨는 "영어 발음 수업은 강사의 입 모양을 보는 것도 중요한데 마스크를 쓰면 그만큼 전달력이 떨어진다"며 "학원에선 일단 입이 보이는 투명마스크를 쓰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제 고3이 되는 정가연(18)양은 마스크를 코 위까지 꾹 눌러쓴 채 "곧 수험생이 돼서 더 건강에 신경이 쓰인다"며 "학교에서도 계속 쓸 예정"이라고 했다.

 ◇ "벗으니 어색", "아직 불안", "난 시원해"

 정부에서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를 해제한 만큼 벗어도 되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나온다. 이젠 친구들 얼굴을 보거나, 교내 활동에 제약이 없어지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적지 않다.

 이날 광장초등학교 2학년 1반 학생 25명 중 5명 만이 마스크를 쓰지 않고 채 조회 시간을 맞이했다. 이 아이들은 초등학교 입학한 이래 처음으로 교실에서 마스크를 벗을 수 있게 됐다.

 담임 교사가 '기분이 어떠냐"고 묻자 아이들은 "마스크 벗으니 어색해요" "마스크 벗은 친구 있어서 어리둥절해요" "아직은 불안해요" "시원해요" 등의 답변을 쏟아냈다.

 마스크 벗는 날만 기다렸다면서 친구들의 얼굴을 볼 수 있다는 기대를 감추지 못하는 아이도 있었다.

 광장초등학교 천재성(13)군은 "아직도 친구 중에 얼굴을 모르는 애들 있다"며 "오늘 온종일 벗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로 아이들이 더 다양한 교과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대림초등학교 학부모 공은혜(40)씨는 "우선 마스크를 쓰고 등교시키긴 했지만 마스크 착용이 해제되면 아이들이 좀 더 많은 활동을 할 수 있을 것 같아 기대된다"며 "1, 2학년 때까지 발표 수업 같은 것도 하나도 못 해 아쉬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