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응급·소아의료 한계…국민 생명 위협

필수분야 인력 이탈에 '휘청'…심혈관흉부외과 의사 60대 이상이 23%
분만병원 없는 취약지가 전체의 42%…소아 입원 진료 중단 사태도

 정부가 31일 중증·응급, 소아·분만 진료체계 전반을 개편하고 보상을 강화하는 공공정책수가를 도입하는 등 대책을 내놓은 데는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의료의 기반이 갈수록 약화하고 있다는 위기의식이 깔렸다.

 특히 지난해 7월 서울 아산병원에서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진 간호사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한 사건은 우리나라 필수의료의 민낯을 극명히 보여줬다.

 이에 앞서 2019년엔 편도제거 수술 후유증으로 초응급 상태가 된 5살 아이가 대학병원에 도착하기 5∼6분 전 수용 불가 통보를 받아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뇌사 후 결국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최근에는 인천의 상급종합병원인 가천대 길병원에서 의료진 부족 때문에 소아청소년과 입원 진료를 두 달 가까이 중단하는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응급의료센터나 권역 심뇌혈관질환 센터 등 중증·응급질환 대응체계 자체는 마련돼있지만, 연계가 미흡해 체계적인 환자 이송, 전원이 이뤄지지 않는 데다 인력이 부족해 야간 등 취약시간대가 발생하고 있다.

 급성심근경색 응급환자의 11.2%(2020년 기준)가 최초 병원에 이송된 이후 다시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고, 중증 응급환자가 적정시간 내에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하지 못하는 비율이 절반을 넘는 가운데 이 비율은 낮아지기는커녕 2018년 50.3%에서 2021년 51.7%로 오히려 올랐다.

 또 중증·응급질환 분야에는 24시간 의료진 대기가 필요하지만 의료인력 부족으로 당직 등 근무 부담이 커 인력이 이탈하는 등 긴급상황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밤낮없는 과중한 업무, 그에 비해 낮은 임금으로 인해 필수의료 분야 전공을 기피하는 사례는 부지기수다.

 소아·분만 의료의 문제는 더 구조적인 부분에서 기인한다.

 출산율 하락이 계속되면서 분만이 가능한 의료기관은 계속해서 줄고 있다. 2018년∼2021년 사이 분만의료기관 중 의원은 279곳에서 218곳으로 61곳 줄었고, 병원은 145곳에서 132곳으로 13곳 줄었다. 종합병원도 86곳에서 79곳으로 7곳 감소했다.

 250개 시군구 중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분만 취약지는 현재 105개(42%)에 이른다.

 분만 취약지에 사는 고위험 임산부의 경우 인근에 분만 시설이 없어 대도시까지 이동해야 하며, 응급상황 발생시 안전하게 출산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감이 높다.

 현장에서는 불가항력적인 의료사고에 대한 책임 부담이 산부인과 기피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기도 한다.

 특히 소아청소년과는 의료체계가 무너지기 직전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소아청소년과 의원은 3천308개에서 3천247개로 61개나 줄었다.

 대형병원에서도 소아청소년과에 오겠다는 의사가 없어 응급·입원 진료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확보율은 2020년 68.2%에서 2021년 34.4%, 2022년엔 27.5%로 2년 사이 40%포인트(p) 넘게 떨어졌다.

 특히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 중증 소아를 치료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아 지방에 거주하는 소아·청소년 환자와 그 가족의 어려움도 커지는 상황이다.

 2019년 기준 소아입원환자가 자신의 거주지역에서 상급종합병원 진료를 받는 비율은 서울 93.9%, 충북 52.6%로 큰 격차를 보였다.

 지역별로 병상 및 의료인력 '쏠림' 현상도 심각하다.

 2020년 기준 인구 1천 명당 300병상 이상 의료기관 병상 수는 서울·부산은 2.8, 경남 1.4, 충북 1.7로 지역 간 격차가 컸다. 인구 1천 명당 의료기관 종사 의사 수도 서울이 3.2인 반면 충북은 서울의 절반인 1.6에 불과했다.

 정부는 필수의료를 담당하는 의사, 보조인력의 총량 자체도 부족하다고 보고 있다. 2006년 이후 의대 정원이 동결된 상황에서 의료 수요가 지속적으로 늘면서 의사가 부족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2035년에는 의사가 9천654명가량 부족할 것으로 예측된다.

 필수의료 분야에 인력이 공급되지 않으면서 해당 분야 의사의 고령화 문제도 심각하다.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심장혈관흉부외과 등 필수과목 의사의 60대 이상 비율은 2011년 8.1%에서 2020년 13.9%로 늘었다.

 심장혈관흉부외과의 경우 7.9%에서 23.4%로 거의 3배로 늘었다. 산부인과의 경우 3명 중 1명(33.1%)이 60대 이상이다.

 이같은 상황이 길어질수록 해당 전공 의대생이나 전공의에 대한 교육·수련이 미흡해질 수밖에 없고, 나이 많은 의사들이 곧 진료현장을 떠나게 되면 필수의료 공백이 더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복지부와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30일부터 의료현안협의체를 본격 가동했다. 양측은 '필수의료 강화 및 의료체계 개선'을 이번 협의체의 운영 목적으로 하는 데 뜻을 모으고 이번 대책에 담긴 핵심 과제를 논의해나가기로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남성 난임환자 9만명…"어려움 많아도 지원받을 길 없네요"
만혼 등으로 남성 난임환자가 늘고 있지만, 여성 중심의 난임 시술 지원 정책으로 인해 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은 15일 보건사회연구 최신호에 성균관대 문은미, 김민아 연구팀의 논문 '난임 시술을 받은 남성의 심리사회적 어려움'을 공개했다. 난임이란 12개월 이상 피임 도구 없이 정상적인 성생활을 하며 임신을 시도했지만, 임신에 실패한 경우를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21년 난임 치료를 받은 환자는 약 25만2천명이다. 남성 난임 환자는 전체의 35.4%로 약 9만명에 달한다. 연구팀은 남성 난임 환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알아보기 위해 난임 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33∼43세 기혼 남성 8명을 심층 인터뷰했다. 그 결과 남성들은 ▲ 난임 진단 직후 복합적 감정 경험 ▲ 가족들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 배우자와의 관계 악화 ▲ 난임 시술 공개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담 ▲ 사회적 지지체계 부족 등을 공통으로 경험했다. 남성 참여자들은 난임 진단을 받고 아이를 가질 수 없을지 모른다는 충격과 두려움을 느꼈고, 남성 난임이라는 사실에 수치심을 느꼈다고 답했다. 정상 정자 부족으로 난임 진단을 받은 C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욕망과 유대감 형성 신경전달물질 '도파민', 사랑 유지에도 중요"
뇌의 보상중추를 자극해 설탕, 니코틴, 코카인 같은 물질에 대한 욕망은 물론 다른 사람과의 유대감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신경전달물질 도파민이 사랑을 유지하는 데에도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더 콜로라도대 조이 도널드슨 교수팀은 15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일부일처제 포유류인 프레리 들쥐 실험에서 도파민이 파트너와의 유대감 형성과 유지에 중요한 역활을 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프레리 들쥐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한 파트너와 오랫동안 짝을 이루고, 집을 공유하며, 새끼를 함께 키우고, 파트너를 잃으면 슬픔과 비슷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프레리 들쥐를 대상으로 파트너를 만날 때와 낯선 들쥐를 만날 때 뇌의 도파민 분비 및 뇌세포 활성 차이 등을 조사했다. 또 파트너와 오랫동안 분리돼 있다가 다시 만났 을 때 도파민 분비와 뇌세포 활동도 측정했다. 실험에서는 프레리 들쥐가 파트너에게 다가가려고 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일을 초소형 광섬유 센서로 실시간 측정했다. 한 시나리오에서 들쥐는 손잡이를 밀어야 칸막이가 열리면서 파트너를 만날 수 있고,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메디칼산업

더보기
복제약 183개나 돼도 "약 부족"…'성분명처방' 대안 될까
코로나19 방역 완화 이후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이어지고 각종 호흡기감염병이 확산되자 일선 약국을 중심으로 '약 품절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성분명으로 약을 처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성분명 처방이란 특정 의약품의 상품명이 아니라 약물의 성분명으로 처방하는 방식이다. 성분명 처방이 이뤄지면 다수의 복제약이 출시된 원본 의약품의 경우, 약국에서 성분이 같은 어떤 약을 조제해도 무방해진다. 15일 의약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감기약과 독감 치료제 등이 수급난을 겪자 약사들은 성분명 처방 제도를 도입해 환자들의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매년 감기·독감 시즌마다 수급난이 심한 약품으로는 오셀타미비르 성분의 독감 먹는치료제 '타미플루',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 '타이레놀' 등이 대표적이다. 정부는 이들 약품이 부족해지자 증산을 전제로 한 약가 인상, 국가 비축분 투입, 수입 확대 등의 조치를 취해왔다. 약사단체는 문제의 근본 해결책으로 성분명 처방 제도를 도입하자고 주장한다. 수요가 많은 해열제 등은 시중에 제네릭(복제약)도 많이 나와 있는 만큼 성분명처방 제도를 도입하면 수급 불안정 상황에서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