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띠 해 시작은 언제?…양력·음력·절기력에 따라 제각각

 2023년은 계묘년(癸卯年) 검은 토끼의 해라고 하지만 정확하게 언제부터 토끼해가 시작되는지 몰라 혼란스러워하는 이가 적지 않다.

 세는 나이, 연 나이, 만 나이 등으로 들쭉날쭉하던 나이 표기법이 오는 6월부터 사법(私法)관계와 행정 분야에서 '만(滿) 나이'로 통일되듯이 띠 동물 적용 시점도 통일할 수 없을까.

 지금으로서는 띠 동물 적용 시점이 대략 3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양력 1월 1일부터라고 생각하는 경우다.

 새해 새 달력 첫 장에 한자와 병기돼 큼지막하게 표시돼 있어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적잖다.

 그러나 기성세대를 중심으로 하는 상당수는 설인 음력 1월 1일부터 띠 동물이 바뀐다고 생각한다.

 반면 사주명리학에서는 입춘을 새해가 시작하는 날로 본다.

 명리학은 양력이나 음력이 아닌 24절기를 기준으로 하는 절기력을 따르기 때문이다.

 이 밖에 고대 중국에서는 동지를 새해가 시작되는 기준으로 삼기도 했다.

 아무튼 지금으로서는 올해 언제부터 계묘년 토끼띠가 시작하는지 명확하게 정해진 건 없다.

 나이 표기법처럼 사회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니다 보니 무슨 띠면 어떠냐는 시각이 존재한다.

 그러나 아직도 민간에서 띠 동물을 꽤 중요하게 취급하는 게 현실이다.

 황금돼지띠니, 백말띠니 해서 출산 규모에까지 영향을 끼친 게 바로 몇 년 전 얘기다.

 이러다 보니 띠 동물도 나이 표기법처럼 통일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나온다.

 71년 1월생이라는 김모(52·대구시)씨는 1일 "친구들은 대부분 70년 개띠인데 나는 입춘 전에 태어나 개띠인지 돼지띠인지 잘 모르겠다"며 "예전에 3월이었던 취학 기준 월이 1월로 바뀌었듯이 띠 동물 적용 시점도 통일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띠 동물에 관한 시각이 시대와 사회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문화 다양성이라는 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천진기 전 국립민속박물관장은 "띠 동물의 해가 언제 시작하는지는 사람들이 각자 정하기 나름이라고 본다"며 "띠 동물의 긍정적인 특성을 삶에 투영하려는 자세가 더 중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성분명 처방 갈등 속에…의협 "'불법 대체조제' 약국 2곳 고발"
의약품의 '성분명 처방'을 둘러싸고 의사와 약사 사회가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명백한 불법 대체조제가 확인됐다"며 약국 2곳을 고발하고 나섰다. 의협은 자체 운영해온 불법 대체조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된 사례들 가운데 약국 2곳에 대해 약사법 위반으로 서울경찰청에 고발장을 제출했다고 17일 밝혔다. 의협은 이 중 한 곳에선 의사가 처방한 의약품을 다른 의약품으로 대체조제하면서 환자와 의사에게 통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약국은 의사가 처방한 타이레놀 1일 3회 복용량을 2회로 변경해 조제하고 타이레놀 8시간 서방정을 세토펜정으로 변경조제하면서 의사·환자에게 통보하지 않았다는 게 의협 주장이다. 현행 약사법은 처방전 의약품과 성분, 함량 및 제형이 같은 다른 의약품에 대해 의사 또는 치과의사의 사전 동의 하에 대체조제를 허용하고 있다. 박명하 의협 부회장은 "불법 대체조제는 환자 안전을 위협할 뿐 아니라, 국민의 신뢰를 근간으로 하는 보건의료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라며 "기본원칙을 무시한 사례가 반복되고 있어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고발은 최근 성분명 처방 허용을 두고 의사와 약사사회가 갈등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