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2개월·1.1㎏' 미숙아 심장병, 비수술로 치료 성공"

삼성서울병원 "치료 2개월 만에 몸무게 3㎏ 넘겨 건강히 퇴원"

 국내 의료진이 생후 2개월째에 몸무게가 1.1㎏에 불과한 초미숙아의 선천성 심장 질환을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진영·성세인 교수팀은 지난해 11월 8일 생후 2개월째에 선천성 심장질환의 하나인 '동맥관개존증'으로 비수술적 치료(폐쇄술)를 받은 윤슬이가 최근 건강히 퇴원했다고 1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윤슬이는 임신 28주 4일 만에 세상에 나왔다. 태어났을 때 몸무게가 680g에 불과해 이른둥이 가운데서도 초극소저체중에 속했다.

 초극소저체중만으로도 아이의 건강을 걱정해야 했지만, 윤슬이는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미숙아에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꼽히는 동맥관개존증을 진단받았다.

 동맥관개존증은 자궁 내 태아의 혈액순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동맥관이란 혈관이 출생 후에도 계속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원래는 생후 초창기에 자연적으로 막히는 게 정상이지만, 미숙아에게서는 계속해서 열려있는 경우가 많다.

 동맥관이 열린 상태가 지속되면 심내막염이나 폐부종과 같은 합병증은 물론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질환은 수술과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요즘은 혈관 속에 기구를 넣어 열려있는 동맥관을 막는 비수술 방식이 주로 쓰인다. 다만, 일반적인 기구로는 아이의 몸무게가 최소 6㎏ 이상이어야 시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몸무게가 1.1㎏인 윤슬이에게 달리 다른 방법이 없었다.

 이에 의료진은 저체중 아이들의 혈관에 넣을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직경 5㎜의 기구(피콜로)를 윤슬이의 다리 혈관에 넣어 동맥관까지 이동시킨 뒤 기구를 펼쳐 열린 동맥관을 막는 데 성공했다.

 송진영 교수는 "2021년에 몸무게 1.7㎏의 아이에게 피콜로를 시술했던 경험을 되살려 윤슬이한테도 치료를 시도했다"면서 "앞으로 윤슬이와 같은 아기들의 치료 성공 경험이 더 많이 쌓이면 미숙아 심장병의 비수술적 치료가 대세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슬이의 엄마 김노을(40)씨는 "윤슬이가 치료를 받고 지금은 몸무게가 3kg을 훌쩍 넘겼을 정도로 몰라보게 자랐다"면서 "밝은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도록 해준 신생아 중환자실 의료진 모두에게 고맙다"고 말했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병용요법 보험적용에 암환자 숨통…희귀질환자 접근성은
다음 달부터 암 환자들이 기존 건강보험 적용 항암제와 비급여 항암 신약을 함께 사용하더라도 기존 약에 대한 건강보험 혜택을 계속 받을 수 있다. 정부는 이러한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 사항(약제) 일부 개정 고시안'을 지난 18일 행정 예고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는 이번 개정안을 '급여기준 개선의 첫걸음'이라고 논평했으며, 글로벌 제약사 모임인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KRPIA)도 환영 의사를 표했다. 다만 이들 환자단체와 제약업계 모두 이번 개정안을 환영하면서도 국내 환자들의 낮은 치료 접근성을 언급하며 약가 제도 및 건강보험 급여체계 개편 논의가 환자 중심으로 진전되기를 바란다고 평가한 점은 주목할만한 부분이다. 두 제도 모두 정부의 재정 안정성이 환자 치료 기회 보장보다 우선시되고 있다는 지적을 오랫동안 받아왔다. 대부분 고가인 혁신 신약 및 병용 위주로 변화하는 항암 치료법이 해외에서는 이미 도입됐지만 국내 환자들은 비교적 뒤늦게 급여 혜택을 받게 됐다. 지난 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병용요법의 암 환자 접근성 개선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서동철 중앙대 약학대학 명예교수는 "제약업계의 항암 치료 파이프라인(개발 중인 제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