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후 2개월·1.1㎏' 미숙아 심장병, 비수술로 치료 성공"

삼성서울병원 "치료 2개월 만에 몸무게 3㎏ 넘겨 건강히 퇴원"

 국내 의료진이 생후 2개월째에 몸무게가 1.1㎏에 불과한 초미숙아의 선천성 심장 질환을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송진영·성세인 교수팀은 지난해 11월 8일 생후 2개월째에 선천성 심장질환의 하나인 '동맥관개존증'으로 비수술적 치료(폐쇄술)를 받은 윤슬이가 최근 건강히 퇴원했다고 1일 밝혔다.

 병원에 따르면 윤슬이는 임신 28주 4일 만에 세상에 나왔다. 태어났을 때 몸무게가 680g에 불과해 이른둥이 가운데서도 초극소저체중에 속했다.

 초극소저체중만으로도 아이의 건강을 걱정해야 했지만, 윤슬이는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미숙아에게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로 꼽히는 동맥관개존증을 진단받았다.

 동맥관개존증은 자궁 내 태아의 혈액순환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동맥관이란 혈관이 출생 후에도 계속 열려 있는 상태를 말한다. 원래는 생후 초창기에 자연적으로 막히는 게 정상이지만, 미숙아에게서는 계속해서 열려있는 경우가 많다.

 동맥관이 열린 상태가 지속되면 심내막염이나 폐부종과 같은 합병증은 물론 심부전 등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이 질환은 수술과 비수술 방식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요즘은 혈관 속에 기구를 넣어 열려있는 동맥관을 막는 비수술 방식이 주로 쓰인다. 다만, 일반적인 기구로는 아이의 몸무게가 최소 6㎏ 이상이어야 시술이 가능하다.

 하지만, 몸무게가 1.1㎏인 윤슬이에게 달리 다른 방법이 없었다.

 이에 의료진은 저체중 아이들의 혈관에 넣을 수 있도록 특수 제작된 직경 5㎜의 기구(피콜로)를 윤슬이의 다리 혈관에 넣어 동맥관까지 이동시킨 뒤 기구를 펼쳐 열린 동맥관을 막는 데 성공했다.

 송진영 교수는 "2021년에 몸무게 1.7㎏의 아이에게 피콜로를 시술했던 경험을 되살려 윤슬이한테도 치료를 시도했다"면서 "앞으로 윤슬이와 같은 아기들의 치료 성공 경험이 더 많이 쌓이면 미숙아 심장병의 비수술적 치료가 대세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슬이의 엄마 김노을(40)씨는 "윤슬이가 치료를 받고 지금은 몸무게가 3kg을 훌쩍 넘겼을 정도로 몰라보게 자랐다"면서 "밝은 모습으로 퇴원할 수 있도록 해준 신생아 중환자실 의료진 모두에게 고맙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기사 업무 범위 확대한 법 개정안에 "국민 생명 위협"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의료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두고 "의사의 면허권을 침해하고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개정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의협이 반대하는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현장에서 의료기사가 의사나 치과의사의 '지도' 외 '의뢰'나 '처방'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 점을 고려해 기존의 '지도'가 아닌 '지도 또는 처방·의뢰'로 의료기사의 업무 가능 범위를 늘렸다. 현행법상 의료기사에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이 있다. 의협은 이 개정안을 두고 "추후 의료기사가 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도록 업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지도' 외 '의뢰나 처방'만으로도 의료기사가 업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사의 감독·책임 체계를 약화하고 무자격자의 의료행위 가능성을 열어두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사 면허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시도이자 의료체계 안정성을 해치는 입법 남용"이라며 "의협은 국민의 생명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