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명 중 1명 반려동물 키워…비용은 월평균 15만원

2022년 동물보호 의식조사…동물학대 목격시 "신고하겠다" 응답 많아

 국민 4명 중 1명은 반려동물을 키우고, 동물을 기르는데 월평균 15만원을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2022년 동물보호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이같이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해 9월 13∼26일 전국 20∼64세 5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5천명 중 반려동물을 현재 거주지에서 직접 기른다는 사람이 1천272명(25.4%)이었다.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 중 75.6%(복수응답)는 개를 키우고 있다고 답했고 고양이를 돌본다는 가구가 27.7%, 물고기를 기른다는 응답이 7.3%이었다.

 동물 1마리를 기르는데 드는 비용은 병원비를 포함해 약 15만원으로, 전년보다 약 3만원 증가했다.

 보호자가 20대인 경우 동물을 기르는데 드는 비용은 월평균 약 21만원으로 다른 연령대보다 높았고 1인 가구의 경우 17만원으로 조사됐다.

 최근 1년 이내 반려동물 관련 서비스 이용경험으로는 동물병원이 71.8%(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미용업체(51.3%), 동물놀이터(28.3%) 순으로 나타났다.

 동물을 구한 경로는 '지인에게 무료로 분양받음'이 40.3%로 가장 많았고 '펫숍에서 구입'이 21.9%, '지인에게 유료로 분양받음'이 11.6%였다.

 반려동물 보호자의 22.1%는 기르는 것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물건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문제'가 28.8%로 가장 많았고 '예상보다 지출이 많아서'(26.0%), '이사·취업 등 여건 변화'(17.1%) 순이었다.

 조사 대상의 53.8%는 지자체 동물보호 전담인력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지난해 전국 시·군·구 동물보호 전담 인력은 약 1.8명 수준이다.

 반려견과 외출시 목줄·가슴줄 착용 등 준수사항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63.0%였다.

 또 동물학대로 보이는 행위에 대해서는 '물리적 학대 행위'뿐 아니라 '열악한 환경'을 학대로 인식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동물학대 목격 시 '경찰, 지자체 등 국가기관에 신고한다'는 답변이 54.3%(중복응답)로 가장 많았고 '동물보호단체 등에 도움을 요청한다'가 45.6%, '학대자에게 학대를 중단하도록 직접 요청한다'가 24.5%,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가 13.1%였다.

 이 밖에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제도 인지자 중 58.0%는 인증축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