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경찰국 반대' 총경 집단 좌천, 이러고도 공정·법치 말하나

40년 전 제정된 '노인 연령 65세', 본격 재검토해야

안철수를 '적' 지칭한 윤 대통령 전대 개입 온당치 않다

▲ 국민일보 = 결국 장외로 뛰쳐나간 민주당, 누구를 위한 것인가

국민의힘, 이렇게 지도부 뽑아서 어찌 민심 얻겠나

▲ 서울신문 = '조국 2년刑' 사법심판 앞 李 방탄투쟁이라니

美 본토에 정찰풍선 띄운 中 세계평화 위협 멈춰야

사법정의 망각한 김명수 사법부의 재판 지연

▲ 세계일보 = 이태원 참사 100일에도 공방뿐, 유족 눈물 언제 닦아줄 건가

명분 없는 민주당 '방탄 장외투쟁', 국민 불신만 키울 뿐

막장 치닫는 국민의힘 全大…윤 대통령이 "중립" 천명하라

▲ 아시아투데이 = 中 정찰풍선 美 침투, 남의 나라 일 아니다

대통령과 여당대표는 손발 잘 맞아야

▲ 조선일보 = "安 이기면 대통령 탈당" 얘기까지 나온 與 경선판

수익률 '세계 꼴찌' 국민연금, 정치 외풍 휘둘린 결과

조국 유죄' 보고도 한 사람 방탄 위해 장외 나간 野

▲ 중앙일보 = 윤 대통령 발언까지 전해진 여당 전대 우려스럽다

이태원 참사 희생자 분향소가 갈등의 공간 돼서야

▲ 한겨레 = 우리금융 회장에 모피아 출신, '신관치' 신호탄인가

이태원 참사 100일, 기억과 진상규명은 이제 첫날이다

기자까지 고발한 대통령실, '입막음 으름장' 지나치다

▲ 한국일보 = 법이 적자 키워…무임승차 비정상 정상화할 때

'정찰 풍선'에 미중 갈등 재점화…한반도 여파 관리를

대통령실, 경선 중립 의지로 불필요한 논란 없애야

▲ 대한경제 = 대정부질문, 번지수 틀린 정쟁보다 민생 대책에 집중해야

중동붐 침착하고 차분하게 대응해야

▲ 디지털타임스 = 효율 향상 없는 공공기관 에너지 절감은 소귀에 경 읽기

총동원령 방불 민주 장외집회, 명분도 실익도 없는 구태다

▲ 매일경제 = 전셋값 하락에 갱신요구권 무용지물, 이참에 임대차 3법 없애야

"일도 안했는데 세비 받을 수 없다"는 정성호 당연하지만 참신하다

안보에서 우주·양자기술까지 확대되는 한미동맹

▲ 브릿지경제 = 민생 파탄' 묻는 장외투쟁, 민생에 도움 안 됐다

▲ 서울경제 = 진흙탕' 與 전당대회, 윤심 정쟁 멈추고 개혁 놓고 경쟁하라

연료비 25년래 최대 폭등, 취약층 지원하되 돈 풀기 자제해야

학령인구 감소 맞춰 교육교부금·대입 제도 대수술하라

▲ 이데일리 = 초유의 제1당 장외투쟁…'조국사태' 교훈 잊은 건가

여야 야합의 공항 주고받기, 혈세 낭비 죄의식도 없나

▲ 전자신문 = 임종룡 내정자, 실력으로 성과 보이길

관행 깬 삼성·LX 협력, 더 많이 나와야

▲ 파이낸셜뉴스 = 한중 방역 감정싸움 장기화 바람직하지 않다

지하철 무임승차 논란, 노인 이동권 보장 전제해야

▲ 한국경제 = 巨野의 민주주의 타락 행태와 눈살 찌푸리게 하는 與 경선

국민연금 운용에 정치 개입…그 결과는 수익률 세계 꼴찌

기술 혁신 못 따라가는 삼류 행정…유망 벤처 다 떠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