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7일 조간)

▲ 경향신문 = 화물노동자 최저운임' 폐지가 화물운송산업 정상화라니

이태원 참사는 막지 못해놓고 분향소는 철거한다는 서울시

탄핵안 발의된 이상민, 무슨 원망 더 들으려는가

▲ 국민일보 = 표준운임제 운송시장 새 갈등 요인 안 되도록 보완하길

이태원 참사 분향소, 갈등 아닌 추모의 공간이 돼야 한다

이상민 탄핵안 발의…여야, 정면대결 대신 정치로 풀어야

▲ 서울신문 = 이태원 참사 추모공간 정치적 악용 안 될 말

'윤심' 공방으로 허우적대는 與, 민심 얻겠나

'검수완박2'에 이상민 탄핵, 입법권 남용 도 넘었다

▲ 세계일보 = 챗GPT 열풍, 세제 지원·규제 혁파로 AI 기술 경쟁 도우라

수익률 '세계 꼴찌' 국민연금, 정치 독립·전문성 키워야

민주당 이상민 탄핵안 발의, 李 엄호용 정치 공세 아닌가

▲ 아시아투데이 = 국민연금 개혁, 대체 재원과 외국사례 검토하길

장관 탄핵을 너무 쉽게 여기는 게 아닌가

▲ 조선일보 = 어느 가족의 놀라운 죄의식 결핍

기본 요건 안 되는 탄핵안까지, 이런다고 '대장동'이 덮이나

선거용 인기용 '정치 공공 요금' 곳곳에, 나라는 골병

▲ 중앙일보 = 만 65세 인구 3%→19%대, 노인기준 상향 논의 시작할 때

에너지 고물가 시대, 기본은 절약이다

▲ 한겨레 = 미-중 '정찰 기구' 갈등이 보여준 불안정한 세계질서

중산층까지 난방비 지원, 에너지 정책 꼬이게 만든다

도 넘은 개입으로 여당 전대 아수라장 만든 윤 대통령

▲ 한국일보 = 애도조차 봉쇄하는 서울시, 법 집행 앞서 대화로 풀라

성과급제 서두르면 불공정만 키운다

이상민 장관 탄핵안 발의…여야 대치만 할 건가

▲ 대한경제 = 축제가 분당대회 되나…막장극 치닫는 국힘 전당대회

건설노조 불법행위 '이번엔 끝장낸다' 각오 다져야

▲ 디지털타임스 = 중산층 난방비까지 퍼준다니…전 정권 포퓰리즘 전철 밟나

갈수록 노골화하는 안철수 배제 '윤심', 경선 후유증 우려된다

▲ 매일경제 = "복수의결권 시급하다"는 벤처업계 절규 국회는 외면말라

이태원 유족 아픔은 이해하지만, 추모도 법은 지키면서 해야

혁신 막고 요금 대폭 올렸다 역풍 맞은 택시업계

▲ 브릿지경제 = 윤석열표' 분양보다는 청약시장 양극화를 보라

▲ 서울경제 = 지하철 무임승차 65세, 더 늦기 전에 수술 착수해야

수사 검사 교체' 추진하는 巨野, 여전히 '방탄'에 매달릴 건가

공기업 개혁 위해 낙하산 인사 관행 멈출 때 됐다

▲ 이데일리 = 고령층 기준 상향…노인 복지정책의 큰 틀 다시 짜야

국민연금의 기업 주인 행세…바닥 수익률 남의 일인가

▲ 이투데이 = 아이 낳는 사회, 제대로 일궈 나가자

▲ 전자신문 = 검증된 생체인증, 여러 산업 확대하자

지역 디지털혁신 패러다임 제시하길

▲ 파이낸셜뉴스 = 나랏빚 1천조인데 아직도 퍼주기에 골몰하는가

장외투쟁에 탄핵소추 발의한 野, 민생 팽개치나

▲ 한국경제 = 잇달은 '미래인력 양성' 계획, 대학 개혁 없이는 헛구호

거세지는 행동주의 펀드들의 공세…기업 방어권 보장 서둘러야

토큰증권 제도화, 차분하게 준비해 건강한 시장 만들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