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궁평항 인근 '궁평관광지' 조성 6년만에 마무리…올 연말 완료

 경기 화성시가 궁평항 인근에 추진한 궁평관광지 조성 사업이 관광지로 지정·고시된 지 6년 만인 올해 말 마무리될 전망이다.

 화성시는 2017년 서신면 궁평리 일원 15만㎡에 대한 관광지 지정 및 조성계획을 경기도로부터 승인받은 뒤 750억원을 들여 유스호스텔, 들꽃가든, 관광안내소, 광장 등을 조성해왔다.

 훼손되는 해송군락지 등 자연자원을 보전하면서 궁평낙조 등과 어우러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다.

 현재 남측 부지 11만㎡는 지난해 말 공사가 완료됐고, 북측 부지 4만㎡ 공사만 남은 상태다.

 당초 사업은 2021년 3월 완료될 계획이었으나 토지 보상 절차가 늦어지면서 계획보다 2년 9개월가량 지연됐다.

 관광지 부지 안에는 1999년 발생한 씨랜드 화재 참사 터가 포함돼 있어, 시는 북측 부지에 추모비를 포함한 추모공간도 계획하고 있다.

 추모공간은 참사 10주기를 맞은 2009년 당시 최영근 화성시장이 현장에서 추모식을 열면서 추모 시설을 짓겠다는 계획을 처음 발표한 후 14년 만에 완공을 앞두게 됐다.

 화성시 관계자는 8일 "궁평낙조와 해송군락지를 활용한 자연친화적인 관광지 조성이 올해 말 마무리된다"며 "씨랜드 참사를 기억하고 추모하자는 의미에서 추모공간도 갖출 예정"이라고 말 했다.

 이어 "추모공간은 당초 관광지 북측에 세우기로 계획했지만, 일부 유족이 위치 변경을 원한다는 의견이 있어 조만간 현장을 함께 둘러본 후 위치를 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혈관스텐트 수가 2배 인상…필수의료 분야 '공정한 보상' 확대
중증심장질환 환자의 혈관스텐트 시술에 대한 수가(의료행위에 대한 대가)를 최대 2배로 높이는 등 정부가 필수의료 분야의 '공정한 보상'을 확대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의대 교수들의 정기적인 주 1회 휴진 등 집단행동이 확산하자 의료대응인력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 ◇ '중중 심장질환 중재시술' 보상 강화…6월부터 적용 정부는 지난달 29일 정부 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중증 심장질환 중재시술 보상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논의된 심장혈관 중재시술은 급성 심근경색 등 중증 심장질환자에게 긴급하게 시행해야 하는 대표적인 필수의료 행위다. 정부는 의료 난이도 등이 수가에 합리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심장혈관 중재술에서 인정하는 혈관 개수를 확대하고, 보상 수준을 인상한다. 우선 상급종합병원에서 4개 심장혈관에 스텐트 삽입 등 중재술을 시행할 경우 시술 수가가 현행 대비 2배 이상으로 인상된다. 기존에는 총 4개의 심장혈관 중 2개 이상에 시술하고도 2개까지만 수가가 산정됐으나, 앞으로는 모든 혈관 시술에 수가를 산정한다. 시술 수가도 기존 최대 130%에서 최대 270%로 인상한다. 이렇게 되면 상급종합병원에서 4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버려지던 치아로 임플란트에 쓰이는 골이식재 개발 추진
대구시가 의료폐기물로 버려지던 사랑니 등 인체 치아를 이용해 골이식재를 개발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골이식재는 임플란트 시술 때 잇몸뼈 재건 등에 사용된다. 이 사업은 동구 신서혁신도시 등 대구 이노-덴탈 특구가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되면서 가능해졌다. 정부는 30일 규제자유특구위원회를 열고 대구 이노-덴탈 특구를 다른 4개 지역과 함께 규제자유특구로 신규 지정했다고 대구시가 밝혔다. 인체 치아를 활용해 골이식재를 개발하는 사업에는 2030년까지 국비 70억원을 포함해 총 156억원이 투입된다. 경북대학교치과병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구테크노파크,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덴티스, ㈜코리아덴탈솔루션 등 6개 기관·업체가 참여한다. 골이식재는 의료기기로 분류되며 주로 사람이나 동물의 뼈, 합성소재를 원료로 제작하고 있다.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대구시에 따르면 현재 치료를 위해 뽑는 치아는 연간 1천380만개 정도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이들 치아는 의료폐기물로 재활용이 금지돼 전량 폐기돼 왔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으로 인체 치아 골이식재가 개발되면 수입 대체효과와 글로벌 시장 선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사업은 2030년까지 국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