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9일 조간)

▲ 경향신문 = '내란 방조' 이완규 헌법재판관 지명한 한덕수 제정신인가

6·3 대선, 내란 극복과 국가 대개혁·통합 요구 부응해야

최상목이 고집한 '10조 추경', 국회서 '슈퍼 추경' 만들라

관세 충격 감안해 추경 10조보다 대폭 늘리길

尹 최측근을 헌법재판관 지명한 韓 대행의 이상한 인사

▲ 동아일보 = 韓, 헌법재판관 지명… 권한 의문인데 '안가 회동' 尹 측근을

나랏빚 역대 최대… 佛-中 신용등급 하락 남 일 아니다

법원서 또 제동 걸린 '2인 방통위'… 국회 몫 3인 언제 추천하나

▲ 서울신문 = 韓 대행·트럼프 첫 통화… 통상외교 늦은 만큼 가속 붙여야

韓 대행 헌법재판관 지명, 이 시점에 또 정쟁 치닫나

선관위, '존폐' 건다는 각오로 6·3 대선 공정성 확보하길

▲ 세계일보 = 논란 불가피한 韓 대행의 후임 헌재 재판관 지명

한 자릿수 지지율 주자만 20명 육박하는 국민의힘

100조 넘긴 나라살림 적자, 재정준칙 서둘러 법제화해야

▲ 아시아투데이 = 김문수 출격… 경선 통해 反이재명 연대 구축해야

'관세 쇼크' 대비 '10조+α 추경' 조속히 집행하길

▲ 조선일보 = '헌법 보루' 헌재 놓고 끝없는 충돌

'비싼 계엄 대가' 트럼프 못 만나고 통화만 하는 처지

간첩법 없는 한국서 中 10대들 군 시설 염탐

▲ 중앙일보 = 한덕수 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부적절하다

막 오른 6·3 대선, 대한민국 새 틀 짜기 계기 돼야

▲ 한겨레 = 안가 회동 '윤석열 친구'를 헌법재판관 지명하다니

추경 10조원으로는 역부족, 확대 추진해야

EBS 사장 임명 제동, 지상파 재허가 심사도 중단해야

▲ 한국일보 = 한 권한대행의 헌법재판관 지명, 월권이다

이재명의 '내로남불 법치'… 국민 신뢰 얻겠나

의결권 없는 '2인 방통위' 언제까지 방치할 텐가

▲ 글로벌이코노믹 = 한국 성장률 0% 추락, 막을 대책 있나

금융권도 위기관리에 나서야 한다

▲ 대한경제 = 끊이지 않는 건설현장 추락사, 예방이 최선

재정수지 적자 100조 원 돌파, 재정준칙 법제화 서둘러야

▲ 디지털타임스 = 韓총리의 헌재 재판관 지명은 대행의 정당한 권한 행사다

갈수록 떨어지는 韓 AI 경쟁력… 이러다 '디지털 식민지' 된다

▲ 매일경제 = 정년연장 포퓰리즘, 청년고용·임금 하락 부른다

국회 연금특위, 자동조정장치 등 구조개혁으로 불신 해소하길

헌법재판관 후보에 강성 친윤…이러니 헌재무용론 나오는 것

▲ 브릿지경제 = '6·3 대선', 경제 살리는 대통령 아니면 안 된다

▲ 서울경제 = 관세 전쟁 격화 속 6·3 대선, 복합위기 극복할 리더십 경쟁하라

재정 적자 104조…퍼주기 말고 경제 살리기 추경 편성해야

美中 AI 투자 늘리는데 韓은 감소, '주52시간' 허송세월할 때인가

▲ 이데일리 = 코로나 이후 실업급여 최대, 얼어붙는 고용시장

관세전쟁은 국난, 한덕수 대행이 트럼프 대통령 만나야

▲ 이투데이 = '자원 무기화'로 번지는 통상전쟁…비상대책 있나

▲ 전자신문 = 딥테크 벤처투자가 우리 산업 미래다

▲ 파이낸셜뉴스 = 장기실업 30%가 청년, 민관이 함께 해법 찾아야

6·3 대선, 국민통합과 미래비전 공론의 장 되길

▲ 한국경제 = 재정적자 또 100조 돌파 … 포퓰리즘 지출에 대한 엄중한 경고

삼성전자 AI폰 앞세워 '깜짝 실적' … 혁신은 언제나 통한다

대선주자들, 한은이 '정년 연장' 반대하는 이유 귀 기울여야

▲ 경북신문 = 헌법재판소 폐지-국민이 동의하는 이유

▲ 경북일보 = 경북 산불 피해 복구·재건 '轉火爲福'의 기회로

▲ 대경일보 = 아시아 증시의 패닉

'국민주권' 없는 조기 개헌론은 사상누각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