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이 국방 "베트남 민간인 학살 없었다", 옳은 대응 아니다

색깔론에 과거 흠집내기 바쁜 여 전대, 국민이 왜 봐야 하나

48일 만에 ICBM 쏘며 3월 강경 대응 예고한 북한

▲ 국민일보 = 의대 쏠림 현상이 말해주는 한국 사회의 암울한 미래

또 시작된 북 ICBM 도발…속셈은 한·미동맹 균열에 있다

▲ 서울신문 = 李 '단일대오' 압박 말고 재판부 설득 논리 고민해야

강제징용 배상, 이제 일본 결단만 남았다

北 또 ICBM 도발, 정녕 체제위기 자초할 셈인가

▲ 세계일보 = 이재명 방탄' 총동원령 내린 민주, 공당이라 할 수 있나

ICBM 쏜 뒤 "남조선 상대 안 해", 한·미동맹 이간질하는 北

경기둔화 공식화…새로운 통상·산업 전략 마련할 때다

▲ 아시아투데이 = 양대 노총의 회계공개 거부, 형사 처벌 검토를

北 또 탄도미사일 발사, 대칭 전력 확보 절실

▲ 조선일보 = 종편 점수 조작 줄줄이 구속, 방통위원장이 몰랐을 수 있나

돈 씀씀이 공개 거부하면서 세금 1500억원 받아간 거대 노조

ICBM 실전 배치 끝낸 北, 우리에게 남은 선택지는 뭔가

▲ 중앙일보 = 혁신 기술 K스타트업, 세계 무대에서 뛰게 도와야

식량난 와중에 북한 또 ICBM 도발…협박은 무용지물

▲ 한겨레 = 이재명 영장 '내로남불' 적시 검찰, 법리·증거로 말하라

대구지하철참사 20년, 온전한 추모가 안전사회 만든다

한미 훈련 앞 ICBM 쏜 북, 벼랑 끝 정세 관리 절실

▲ 한국일보 = 北, ICBM 발사에 막말 담화까지…소모적 도발 멈춰야

핵무기 암호 훔치겠다'는 AI, 위협 대비도 시급하다

기대보다 우려 큰 정치인 출신 전경련 수장

▲ 대한경제 = 건설산업 탄소중립 요구, 디지털화로 뚫어야

짙어지는 스태그플레이션 그림자, 투자와 수출 확대가 돌파구다

▲ 디지털타임스 = 은행 올해도 돈잔치 예고…언제까지 예대폭리 묵인할 텐가

北 고립 자초 소모적 도발에 쓸 돈, 기아선상 주민에 써라

▲ 매일경제 = 활쏘기 이어 대통령 샌드백 때리기, 反정부 저주집회 선 넘었다

소비자 분노 외면하더니 정부가 비판하자 움직인 대한항공

적대적 M&A에 떠는 기업들…美·日 수준의 방어수단 필요하다

▲ 브릿지경제 = 경기둔화' 안 보이고 '이재명 방탄'만 보이는 국회

▲ 서울경제 = 체포동의안 자유투표 맡기고 경제 살리기법 조속 처리하라

한미 균열 노린 北 ICBM 도발, 확장 억제 강화로 대응해야

공적연금 지출 증가 속도 최고…연금 개혁 더 늦출 수 없다

▲ 이데일리 = 일몰된 건강보험 국고지원, 대체입법 아예 두 손 놨나

경기둔화 공식 인정…위기, 끝날 때까진 끝난 게 아니다

▲ 이투데이 = 재정준칙 필요성 일깨우는 세계 석학의 경고

▲ 전자신문 = 바이오헬스 육성, 통상 대비책 필수

클라우드 추가 개방, 단호히 거부해야

▲ 파이낸셜뉴스 = 위기의 전경련, 정치인 출신이 위상 재정립 해낼까

빛 좋은 개살구' 항공 마일리지, 합리적 대안 내놔야

▲ 한국경제 = ICBM으로 고강도 도발 신호탄 쏜 北…'압도적 대응력'이 답이다

AI 신기원 여는 챗GPT…과도한 공포는 금물

'경기 둔화' 공식화한 기재부…변곡점 최대한 앞당기려면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