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우병 실험 신약 피투시란, 효과 확인"

 유전자 결함으로 혈액응고 인자가 부족, 혈액 응고가 잘 안되는 유전 질환인 혈우병(hemophilia) 치료 실험 신약 피투시란(fitusiran)이 혈우병 A와 B 모두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혈우병은 부족한 혈액응고 인자의 종류에 따라 혈우병 A와 혈우병 B로 나뉜다. 제8 응고인자가 부족한 혈우병 A가 전체 혈우병의 약 80%, 제9 응고인자(factor IX)가 부족한 혈우병 B가 나머지 20%를 차지하고 있다.

 피하 주사제인 피투시란은 혈우병 A와B 모두 출혈 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2건의 임상시험에서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첫 번째 임상시험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 의대 소아과 전문의 가이 영 교수 연구팀이 12개국 26개 병원에서 치료 저항성이 심한 혈우병 남성 환자 56명(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들 중 3분의 2에는 피투시란이 투여됐고 나머지 그룹(대조군)에는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약이 투여됐다.

 그 결과 피투시란 그룹은 1년 동안 출혈이 한 번도 없었고 대조군에서는 평균 17차례 발생했다.

효과는 혈우병 A와 B 모두 같았다.

 이 결과는 피투시란이 이미 출혈이 시작된 이후에 투여하는 것보다는 예방적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두 번째 임상시험은 인도 기독교 의과대학의 알로크 스리바스타바 소아 혈액학 교수 연구팀이 17개국 45개 의료기관에서 치료 저항성이 없는 남성 혈우병 환자 120명(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 중 3분의 2는 피투시란이, 나머지(대조군)는 혈액 응고제가 투여됐다.

 결과는 피투시란 그룹은 1년 동안 출혈이 한 번도 없었고 대조군은 평균 22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상시험 모두 주요 부작용은 간(肝)이 손상됐을 때 혈류로 방출되는 효소인 알라닌 아미노트란스페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 상승이었다.

 첫 번째 임상시험에서는 피투시란 그룹에서 32%, 두 번째 임상시험에서는 23%가 알라닌 아미노트란스페라제 혈중 수치가 올라갔다.

 프랑스의 사노피(Sanofi) 제약회사가 개발한 피투시란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항트롬빈(antithrombin)을 표적으로 하는 소간섭 RNA(siRNA: small interfering RNA) 치료제로 한 달에 한 번 피하주사로 투여한다.

 피하 주사제이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쉽게 맞을 수 있다. 또 한 달에 한 번 투여하기 때문에 별 부담이 없다.

 이는 혈우병 환자가 병원에 자주 가지 않고도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혈액학'(Lancet Hematology)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국민참여의료혁신위 11월 출범…"수요자 참여로 필수의료 강화"
의료 서비스 수요자인 국민들의 참여로 지역·필수·공공의료를 강화하기 위한 '국민 참여 의료혁신위원회'가 오는 11월께 출범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국정과제의 하나로, 국무총리 직속으로 혁신위를 신설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혁신위는 민간위원을 포함한 30인 이내의 본위원회와 전문가 중심의 전문위원회, 의료혁신추진단 등으로 구성된다. 정부는 본위원회의 민간위원으로 환자, 소비자, 청년, 노동조합, 사용자, 언론 등 다양한 국민이 수요자로서 참여하게 하되, 보건의료 전문가 등 공급자와의 균형을 맞출 계획이다. 또 혁신위 안에 '의료 혁신 시민 패널'을 만들어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필요한 과제에 대한 권고안을 마련한다. 이와 함께 국민 누구나 정책을 제안하고, 설문조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국민 참여 플랫폼도 운영한다. 혁신위와 시민 패널의 논의 과정·결과는 온라인 중계, 속기록 공개 등을 통해 공개한다. 정부는 소아·분만 등 의료 공백, 응급실 미수용 등 여러 국민이 현재 어려움을 느끼는 과제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지금까지의 의료 개혁이 의료 인력·전달체계, 보상체계 등 공급 측면의 중장기 구조 개혁이었다면 앞으로는 수요자 중심의 과제에 집중하려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