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우병 실험 신약 피투시란, 효과 확인"

 유전자 결함으로 혈액응고 인자가 부족, 혈액 응고가 잘 안되는 유전 질환인 혈우병(hemophilia) 치료 실험 신약 피투시란(fitusiran)이 혈우병 A와 B 모두에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혈우병은 부족한 혈액응고 인자의 종류에 따라 혈우병 A와 혈우병 B로 나뉜다. 제8 응고인자가 부족한 혈우병 A가 전체 혈우병의 약 80%, 제9 응고인자(factor IX)가 부족한 혈우병 B가 나머지 20%를 차지하고 있다.

 피하 주사제인 피투시란은 혈우병 A와B 모두 출혈 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2건의 임상시험에서 확인됐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첫 번째 임상시험은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학 의대 소아과 전문의 가이 영 교수 연구팀이 12개국 26개 병원에서 치료 저항성이 심한 혈우병 남성 환자 56명(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들 중 3분의 2에는 피투시란이 투여됐고 나머지 그룹(대조군)에는 혈액 응고를 촉진하는 약이 투여됐다.

 그 결과 피투시란 그룹은 1년 동안 출혈이 한 번도 없었고 대조군에서는 평균 17차례 발생했다.

효과는 혈우병 A와 B 모두 같았다.

 이 결과는 피투시란이 이미 출혈이 시작된 이후에 투여하는 것보다는 예방적 치료에도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두 번째 임상시험은 인도 기독교 의과대학의 알로크 스리바스타바 소아 혈액학 교수 연구팀이 17개국 45개 의료기관에서 치료 저항성이 없는 남성 혈우병 환자 120명(12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이 중 3분의 2는 피투시란이, 나머지(대조군)는 혈액 응고제가 투여됐다.

 결과는 피투시란 그룹은 1년 동안 출혈이 한 번도 없었고 대조군은 평균 22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임상시험 모두 주요 부작용은 간(肝)이 손상됐을 때 혈류로 방출되는 효소인 알라닌 아미노트란스페라제(alanine aminotransferase) 수치 상승이었다.

 첫 번째 임상시험에서는 피투시란 그룹에서 32%, 두 번째 임상시험에서는 23%가 알라닌 아미노트란스페라제 혈중 수치가 올라갔다.

 프랑스의 사노피(Sanofi) 제약회사가 개발한 피투시란은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단백질인 항트롬빈(antithrombin)을 표적으로 하는 소간섭 RNA(siRNA: small interfering RNA) 치료제로 한 달에 한 번 피하주사로 투여한다.

 피하 주사제이기 때문에 가정에서도 쉽게 맞을 수 있다. 또 한 달에 한 번 투여하기 때문에 별 부담이 없다.

 이는 혈우병 환자가 병원에 자주 가지 않고도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영국의 의학 전문지 '랜싯-혈액학'(Lancet Hematology)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정상화 현 정부서 해결해야"…정부·국회에 대화 요구
대한의사협회(의협)는 8일 "정부와 국회에 의료정상화를 위한 의료계의 제안을 논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의협은 이날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의료 정상화는 차기 정부가 들어서기 전에 현 정부가 해결해야 하는 과제"라며 이같이 요구했다. 의협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문은 의료현장을 이탈한 모든 의료인에 대해 48시간 내 본업에 복귀하라고 한 계엄군의 포고령이 헌법상의 권리 또는 직업의 자유는 물론 국민의 기본권을 광범위하게 제한했다고 명시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작년 근거 없는 의대 정원 2천명 증원을 발표한 이후 수련을 포기한 전공의들에게 가해진 업무개시명령 등 행정명령의 위헌적 소지가 있음을 간접 증명하는 내용"이라며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무리한 행정명령 부과에 대한 사과를 요구한다"고 했다. 이어 의협은 의료 개혁을 논의하는 사회적 협의체인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를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의협은 "대통령이 사라진 지금 대통령 직속 특위가 유지돼야 한다는 궤변은 도대체 어디에 기초하고 있느냐"며 "의개특위를 멈추고 의료 개혁과제는 의협 등 의료계와 심도 있게 원점에서 재논의하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세계 첫 유전자 재조합 탄저백신 국내 개발…"자급력 강화"
질병관리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재조합 단백질' 방식의 흡착탄저백신(배리트락스주)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약품 품목 허가를 받았다고 9일 밝혔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 백신은 탄저균의 방어항원(Protective Antigen)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전 세계 첫 번째 사례다. 식약처는 전담 심사팀을 구성해 해당 품목의 안전성·효과성 및 품질을 심사하고, 감염내과 전문의 등으로 구성된 외부 전문가의 자문과 중앙약사 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종 허가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상용화로 그간 전량 수입해오던 탄저백신을 자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백신 수입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됐다. 또한 생물테러 등 유사시 충분한 물량을 즉각적으로 생산하고 확보할 수도 있게 됐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탄저백신 국산화를 통해 생물테러 등 국가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다양한 백신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국가 위기 상황에 대비해 탄저백신의 생산·비축도 차질 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증상에 따라 피부 탄저, 위장관 탄저, 흡입 탄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