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0일 조간)

▲ 경향신문 = 늦게나마 간호·의료법 중재 나서는 당정, 그게 협치다

중국인 총책 쫓는 대치동 마약, 발본색원할 법도 정비하라

국회 전원위, 기득권 내려놓고 선거개혁 합의 이뤄야

▲ 국민일보 = 불성실 변호사 엄중 조치 않으면 사법 신뢰 무너진다

1년 앞으로 다가온 총선…여야, 쇄신과 선거 개혁 나서야

▲ 서울신문 = 文'탈원전'이 멈춰 세운 고리 2호기, 3조 날렸다

후쿠시마 여론까지 조작하는 野 '정치쇼'

與, 내일 기약하려면 영남·보수의 둥지 벗어나야

▲ 세계일보 = 삼성전자 실적 쇼크, 반도체 과잉의존 경제 변화 모색할 때

巨野 보여주기식 '정치 쇼', 후쿠시마 방문으로 끝내야

당 3역 모두 영남·전광훈 논란…與, 중도 확장은 포기했나

▲ 아시아투데이 = 정부, 배터리 원자재 탈중국 리스크 줄여주길

민주당, '준비 없는 방일' 같은 쇼 이젠 멈추길

▲ 조선일보 = 'KBS 수신료 분리' 찬성이 96%, 이게 국민의 냉정한 평가

이번엔 '친일 횟집' 소동, 갈 데까지 간 가짜뉴스 테러

1분에 1억원씩 느는 나랏빚, 머지않아 한계 상황 올 것

▲ 중앙일보 = 반도체 한파와 경상적자…'재정 방파제' 잘 쌓아야

총선 1년 앞, 양당 독점과 대립 줄일 선거제 합의부터

▲ 한겨레 = 또 '진료 거부' 선언한 의협, 국민 건강이 그리 가볍나

'선거제 개편' 전원위, 요식절차로 끝나선 안 된다

정부도 '세수 펑크', 경기후퇴 속 서민지원 어쩔 텐가

▲ 한국일보 = 반도체만 문제가 아니다, 제조업 전 분야 침체 심화

美 한국 정부 감청 정황…동맹 관계에 용납 못할 일

국회, 원론적 주장·상대 탓 말고 선거제 개편 성과내라

▲ 디지털타임스 = 이대로 가면 '세수 펑크'…우려만 할 게 아니라 해법 내놔야

野 정치편향 후보 방통위원 단독추천, 방송장악 기도 접으라

▲ 매일경제 = 민주주의 질식시키는 러시아의 언론인 감금

SNS·코인 활용 마약 유통망, 단속시스템도 확 뜯어고쳐야

美 10년 후 신차 3대중 2대는 전기차, 우리는 준비됐나

▲ 브릿지경제 = 정부 주도 내수 '붐업', 효과와 한계 함께 봐야

▲ 서울경제 = 北 또 핵어뢰 과시…한미 정상이 핵우산 실효성 강화 방안 찾아야

'수익 악화' 기업 살려내야 일자리 지키고 금융 리스크 막는다

총선 D-1년, 인기 영합 경쟁 접고 개혁·경제 입법으로 승부하라

▲ 이데일리 = 의원 수 감축…모른 채 외면할 일 아니다

과학 비웃는 괴담 선동, 국민 우롱 아닌가

▲ 이투데이 = 고리2호기, 운영허가 때문에 멈춰 서다니

▲ 전자신문 = 당정, 고물가 관리 적극 나서야

국내 팹리스 매각, 보고만 있을 건가

▲ 한국경제 = 총선 1년 앞둔 여당 새 진용, 더이상 국민 실망시켜선 안 돼

부총리도 시인한 세수부족…내년 예산 긴축 방향성 확실해졌다

급팽창하는 美 전기차 시장…'제2 반도체'로 키울 기회다

▲ 대한경제 = 건설노조 불법행위 근절위해 노동조합법도 개정해야

전국 산재한 노후인프라 국민은 불안하다

▲ 파이낸셜뉴스 = 멈춰 선 고리 2호기, 다른 원전 연장 속도내야

커지는 세수 결손 위기, 포퓰리즘 경쟁 멈추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