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한국 성평등 인식 10년 새 최악 됐다는 유엔 보고서

속도 내는 '시행령 통치', 입법권 형해화하는 행정독주다

엔데믹 후 공공병원 위기, 정부 실효적 해법 찾아야

▲ 국민일보 = 초고령사회 눈앞…노인병 전문의가 필요하다

상호존중의 한·중 관계 위해 당당한 외교 펴나갈 때

▲ 서울신문 = 규제 고치니 자본 유턴에 경상수지·일자리 온기

가해자 신상 공개보다 피해자 노출 방지가 먼저다

中 첨단기술 빼가기, 국가안보 차원서 대응해야

▲ 세계일보 = 중위소득 100% 학자금 대출 이자 면제도 포퓰리즘 아닌가

삼성전자 前 임원이 산업스파이, 솜방망이 처벌이 문제다

'복마전' 신재생에너지 사업, 철저한 수사로 진상 파헤쳐야

▲ 아시아투데이 = 핵심기술 해외 유출, '경제 간첩죄'로 다스리자

북한 핵·미사일 돈줄 차단 나선 한·미

▲ 조선일보 = 법인세 깎자 해외서 번 돈 국내 반입 급증, 이것이 '감세 효과'

소규모 건폭들 여전히 활개 치는데 곧 특별 단속 끝낸다니

탈원전 첨병 文 정권 산업부, 원전은 조작하며 태양광으로 돈벌이

▲ 중앙일보 = 캐도 캐도 끝없는 신재생에너지 사업 비리

파면된 서울대 조국 교수, 정치가 아닌 반성의 시간 돼야

▲ 한겨레 = 소금·건어물 사재기 조짐, 정부 국민 불안 무시 말라

대통령까지 나서서 중국 대사 때리기 적절한가

민주화 기념사업회까지 낙하산, 민주화 폄훼 말아야

▲ 한국일보 = '자본 리쇼어링' 부른 이중과세 폐지…이런 감세 필요하다

커지는 아들 학폭 의혹, 이동관 철저한 검증 있어야

日 오염수 여야 공방 속 현실화하는 수산업계 피해

▲ 대한경제 = ILO, 한국 정부의 노사 법치주의 확립 노력을 방해해선 안 된다

'묻지마 입찰' 조장하는 긴급입찰공고 지양해야

▲ 디지털타임스 = 당정 학자금대출 이자 면제 추진…총선용 포퓰리즘 아닌가

세금 잔치 벌였던 文정부 태양광사업, 수사로 전모 밝혀야

▲ 매일경제 = 이중과세 폐지하니 해외 배당금 유턴, 기업친화정책의 힘이다

尹 대통령 BIE 총회 참석, 부산 엑스포 유치 역전 기회 잡아야

대기업 돕겠다는 민주당의 정책 세미나 참신하다

▲ 브릿지경제 = K-방산 '절충교역' 부담, 범정부적으로 줄여야

▲ 서울경제 = '혈세 누수' 시민단체 환부 도려내고 보조금 검증 강화하라

조국 교수직 파면…잘못 시인하고 '총선 출마' 접어 자숙해야

中의 도 넘은 기술 도둑질…처벌 강화·기술 보호 시스템 시급하다

▲ 이데일리 = 혁신 싹 잘라놓고 법원 판결까지 비판…반성은 왜 없나

반도체 기술 대중국 유출, 현대판 매국 행위 엄벌해야

▲ 이투데이 = '中의 복제공장' 신설 무산은 일단 다행이지만

▲ 전자신문 = 대가 없는 SW 과업 변경 뜯어고쳐야

혁신 '골든타임' 놓치지 말자

▲ 파이낸셜뉴스 = 반도체 기술 유출 일벌백계로 다스려 재발 막아야

속속 돌아온 기업 해외소득, 규제 완화란 이런 것

▲ 한국경제 = 한동훈 때문에 체포안 부결시켰다는 민주당…너무 구차하다

교수직 파면당한 조국, 정치판 기웃거리지 말고 자숙해야

尹, 부산 엑스포 유치전 진두지휘…'파리의 대역전' 응원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