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장마철, 꿀잠 자고 싶다면?

  "덥고 습해서 그런가…왜 이렇게 잠이 안 오지?"

 장마철이 되면 불면증을 겪는 사람이 많아지는데요.

 왜 그런 걸까요?

 장마철에 잘 잘 수 없는 것은 낮에 일조량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멜라토닌이 감소해야 하는 낮에 오히려 분비량이 늘면서 호르몬의 균형이 깨지고, 결국 생체 리듬에 문제가 생기면서 불면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장마철에는 햇빛을 받으면 촉진되는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어드는데요.

 세로토닌은 몸에 활력을 주고 기분을 좋게 만들어줘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죠.

 그런데 일조량 감소로 세로토닌 분비가 줄어들면 불면증이 생길 수 있고 무릎이나 뼈마디 통증도 더 심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덥고 습한 장마철, 어떻게 하면 잘 잘 수 있을까요?

 우선 주변 환경을 잠들기 좋은 상태로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장마철 습도는 80∼90%에 달하는데요. 제습기나 에어컨, 선풍기를 틀어 적정 실내 습도인 50∼60%로 만들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 실내 온도는 24∼26도 정도로 맞추고, 취침 전 에어컨 가동 시간을 예약해두고 사용하는 것이 좋죠.

 신원철 강북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는 체온이 조금 떨어져야 쉽게 잠이 든다면서 "자기 1∼2시간 전에는 체온을 떨어트려야 되니까 (에어컨을) 켜놓으시고 1∼1.5시간 정도로 타이머를 맞춰 온 도를 조금 높게 만들거나 그 이후에는 끄거나 하는 게 좋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온도가 갑자기 더 떨어지거나 조절이 안 되는 상태가 되면 우리 몸이 너무 추워지거나 이런 상태로 변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침실을 어둡고 조용하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잠들기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거나 수면 호르몬 분비를 촉진하는 따뜻한 우유 한 잔을 마시는 것도 좋은데요

 낮 동안에는 짧게라도 햇볕을 쬐고 규칙적인 생활을 하는 게 중요하죠.

 신원철 교수는 "복식호흡을 5∼10분 정도 하고, 재미없거나 교훈적인 책을 읽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 마음의 긴장을 풀 수 있는 명상도 좋다"고 조언했습니다.

 평소 적당한 운동은 수면에 도움이 되지만 잠들기 직전 과도한 운동은 피하는 게 좋습니다.

 취침 전 음주나 과식, 전자기기 사용은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데요.

 음주는 일시적으로 수면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각성 효과를 일으켜 잠자는 도중 자주 깨게 만들 수 있습니다.

 과식은 소화기관의 활동량을 늘려 멜라토닌 분비를 줄게 만들어 숙면에 방해가 되니 피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사태에 간호대생 취업률 급감…정부 "내년 정원 조정 검토"
의료 사태 이후 간호대생 취업률이 예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 급감하면서 간호사 '취업 절벽'이 발생하자 정부가 내년도 간호대 정원 조정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민수 보건복지부 2차관은 지난 2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간호사 취업난에 대한 대책을 묻는 이수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박 차관은 "간호사 취업에 문제가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비상진료체계 하에서 상급종합병원 등의 진료량이 떨어진 것에 기인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이것은 일시적인 요소이며, 정부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확대와 간호사의 단계적 증원을 통해 현장의 의료 질을 높이기 위한 계획을 이미 발표했고 이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가 44개 상급종합병원을 상대로 파악한 간호사 채용 현황에 따르면 2023년 44곳에서 8천906명(중복합격 포함)을 채용했지만 작년엔 21곳에서 2천902명을 채용했다. 2023년 채용자 중 발령 인원은 33.6%인 2천992명에 불과했다. 박 차관은 내년도 간호대 정원과 관련, "현재 상황을 고려해서 간호인력 전문위원회에서 검토 중"이라며 "좋은 결정이 나올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예년에 비해 취업률이 좋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제약바이오업계, 국가바이오委 출범 환영…"글로벌 경쟁력 강화"
제약·바이오업계는 바이오 정책 수립의 구심점인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지난 23일 대통령 직속 기구로 출범한 데 대해 대체로 환영 의사를 피력했다.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떠오른 바이오 분야에서 미국, 중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 간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국가바이오위원회가 국내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업계 일각에서는 컨트롤타워 혼선이나 케미컬 신약 지원 정체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국무총리 직속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와 역할 분담이 면밀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재국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각 국가 간 치열한 바이오 시장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고 미래 먹거리로서 주목도가 높아진 상황이기 때문에 대통령 직속으로 바이오 전반적인 부분을 총괄하는 기구가 출범함으로 인해 국가 총력을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부회장은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바이오 관련 제반 부문에서 주요 과제들에 대한 계획을 종합적으로 세우고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는 산업 현장에서 많이 나온 규제 혁신 등을 다를 것 같다"며 "역량이 모아져서 좋은 성과가 도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도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을 반기면서 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