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 조절로 루푸스 발병·신장 손상 억제 가능"

UNIST 생명과학과 권혁무 교수팀, 신장병 관련 국제학술지에 연구 공개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특정 단백질이 루푸스와 신장염 발생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생명과학과 권혁무 교수팀은 루푸스 발병에 'TonEBP'(톤이비피) 단백질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루푸스는 면역체계 이상으로 피부, 관절, 신장 등에 염증을 일으키는 난치성 자가면역질환이다.

 특히 신장 염증으로 신장 기능이 소실되면 투석 치료·이식수술 등이 필요해 사망 위험이 높다.

 연구팀은 톤이비피 단백질을 조절해 루푸스 발병과 신장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루푸스 신장염 환자의 신장에서 대조군 환자보다 톤이비피 단백질이 더 많이 발현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함께 진행한 동물실험 결과 톤이비피 단백질이 부족한 쥐에게서는 루푸스 발병과 신장 손상이 억제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이는 톤이비피가 대식세포에서 식세포작용과 항원 전달을 통해 T세포의 분화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톤이비피 발현은 대식세포에서 사멸·손상된 세포에서 발현되는 손상연관분자패턴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증가한 톤이비피는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발현시킨다.

 염증과 관련된 여러 단백질(사이토카인) 생성에 관여하는 염증성 전사인자 '엔에프-카파비'(NF-kB)와 감염세포 내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고 주변 세포로의 확산을 축소하는 '인터페론' 조절인자를 제어하면서다.

 연구팀은 이러한 작용 원리로, 톤이비피를 줄이면 염증 반응이 줄어 루푸스 발병과 신장 손상을 막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권혁무 교수는 "루푸스의 정확한 발병기전 부재와 예후 예측이 힘든 점을 극복하고, 루푸스 및 신장 손상을 유발하는 원인 유전인자를 밝혀 예방 및 치료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신장병 관련 국제 학술지 '키드니 인터내셔널'(Kidney International) 5월 5일 자에 온라인으로 공개됐으며 최신 호(7월 1일 자)에 실렸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중견과제, 선도연구센터(SRC) 지원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빅5'병원 중환자 비율 50% 이상…일반병상 최대 15% 감축
정부가 '빅5' 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대수술'에 나섰다. 큰 틀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동네 병원은 경증환자에 집중하도록 한다. '빅5 쏠림'을 더는 방치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상은 최대 15% 줄이고, 중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늘린다. 대신 중증수술 수가를 대폭 올리고, 당직 수가를 신설하는 등 중증환자 치료에 성과를 올리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도록 한다. 의료사고에 따른 환자와의 갈등을 줄이고자 병원 내 의료사고 예방 책임을 병원장이 맡는다. '환자 대변인'이 신설돼 의료사고 피해자를 돕는다. ◇ '동네의원과의 경쟁' 탈피…상급종합병원 구조 바꾼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를 열고 오는 9월부터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처치 난도가 높고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노연홍 의개특위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적어도 (상급종합병원의) 중증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가능하면 많이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현장과 많은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수치가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횟감용 칼과 도마는 구분…굴·전복은 85도 이상에서 가열"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이 12일 서울 마포구 마포농수산물시장을 방문해 여름철 수산물 안전 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오 처장과 송 차관은 활어가 보관된 수족관 물을 채수해 식중독 신속 검사 차량에서 비브리오균 등 식중독균 검사를 진행했다. 식중독 신속 검사 차량에서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 장치를 활용해 식중독균 17종을 4시간 안에 동시 검사할 수 있다.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8∼20도로 상승하는 여름철에 증가하며, 해당 균에 오염된 굴·전복·활 가리비 등 어패류를 생식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한다. 식약처는 비브리오균 식중독 예방을 위해 2017년부터 활어 취급 음식점을 대상으로 수족관 물을 검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해양수산부는 이날 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횟감용 칼과 도마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식중독 안전 관리 수칙을 안내했으며, 소비자에게는 어패류 구매 후 즉시 냉장·냉동 보관한 뒤, 조리 전 수돗물에 세척해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가열해 섭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오 처장은 "장마 기간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식중독 발생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 대비해 유통 수산물 수거·검사 등 선제적인 안전 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