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1일 조간)

▲ 경향신문 = 오송 지하차도 참사 책임자, 중대 시민 재해를 적용하라

학교서 극단 선택한 초등교사, 교권 보호 실효적 조치해야

4대강 재자연화, 감사원 흔들고 환경부 '보 존치'로 접나

▲ 국민일보 = 여야, 물난리 피해의 고통마저 정쟁에 이용하려 하나

교권 넘어 인권 유린당하는 교사들…참담한 공교육 현실

▲ 서울신문 = '3불 합의' 없다더니, 국민 속이고 안보 주권 내줬나

4대강 조사위 편파 조작, 의혹 철저히 가려야

선생님이 매 맞고 죽는 교실, 이대론 안 된다

▲ 세계일보 = 학생 폭력·학부모 민원으로 멍든 교권, 교사들이 위험하다

4대강 반대 시민단체가 보 해체 결정 좌지우지했다니

'3不 1限' 합의 없었다더니…문서로 확인된 文정부 거짓말

▲ 아시아투데이 = 교권 세우려면 '학생인권조례'부터 손봐야

국가 물관리 난맥상, 국토부에 치수권 환원하라

▲ 조선일보 = 文 정권 4대강 보 해체 결정서 벌어진 경악할 왜곡 조작

국회 회의 중 코인 거래만 200회 김남국, 아직도 의원이라니

'3不 1限' 모두 사실, 나라 주권 中에 내준 매국 행위 아닌가

▲ 중앙일보 = 무너지는 학교 현장…교권 회복 시급하다

4대강 반대 단체가 금강·영산강 보의 운명 좌우했다니

▲ 한겨레 = 엘리엇 중재판정 불복 소송, '여론 무마용'은 아닌가

구명조끼도 없이 급류 투입 해병대, 지휘관 문책해야

'4대강 재자연화' 뒤집기, 정권 따라 바뀌는 4대강 감사

▲ 한국일보 = 정책도, 감사도 정권 입맛 따라…4대강 악순환 끊어야

구명조끼도 없이 병사 급류로 내몬 해병대

'3불1한' 합의 없다더니…진상조사 불가피하다

▲ 디지털타임스 = 시한폭탄 부동산PF…선제 대응해 위기의 싹 조기 잘라내야

文정부 비과학적 정치적 洑 해체, 문책하고 시정 서두르라

▲ 매일경제 = 4대 그룹은 전경련 복귀해 국가 경제 성장 주역으로 거듭나길

초등생에 폭행당하는 교사들, 교권 붕괴 이대로 둘 건가

文정부·시민단체 '4대강 보' 해체 한통속, 대국민 사기극이다

▲ 브릿지경제 = 금융권의 '약한 고리' 부동산 PF 부실 최소화해야

▲ 서울경제 = '추경' 논쟁 접고 수해 복구 신속 지원 방안 머리 맞대라

4대강 보 해체 졸속 결정 책임 묻고 수해·가뭄 대책 마련하라

첨단 특화단지 지정…실천과 속도에 초격차 전략 성패 달렸다

▲ 이데일리 = 이화영 "방북비 대납"…李 대표, 국민 납득할 해명 내놔야

예비비로 충분한 수해복구…野, 왜 다짜고짜 추경인가

▲ 이투데이 = 환경부가 집중할 것은 조직 보호 아닌 국민 안전

▲ 전자신문 = 반도체 인재 양성 요람 돼야

전기차 구매심리 살아나려면

▲ 한국경제 = 어느 교사의 비극적 선택…학교·당국·학부모 모두 스스로 돌아봐야

서민 괴롭히는 '최고금리 인하'의 역설…시장에 맞춰 탄력 조정을

文정부의 '답정너' 4대강 보 해체, 국정 농단이다

▲ 대한경제 = 추경, 예비비 논쟁 말고 빠른 수해복구에 머리 맞대라

불신받는 건설사들, 정도경영이 살길이다

▲ 파이낸셜뉴스 = 철근 빼먹기, 레미콘 물타기가 버젓이 벌어지다니

국가 경제의 미래가 걸린 소부장 산업 육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