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4일 조간)

▲ 경향신문 = '왕의 DNA' 갑질 교육부 사무관, 이런 공무원 또 없겠나

이란 동결자금 해제, 한-이란 관계 회복 전기 되길

한·미·일 정상회담, 오염수 우려 표명할 마지막 기회다

▲ 국민일보 = 교사에 갑질한 사무관 감싼 교육부, 교권 보호 의지 있나

▲ 서울신문 = 채 상병 사건 수사 난맥상, 철저히 진상 가려라

잼버리 파행의 모든 것, 엄중히 밝히고 책임 물어야

새만금 잼버리의 한숨과 환호, 두 얼굴의 한국

▲ 세계일보 = 혼란 가중시키는 채 상병 수사…유족 보기 부끄럽지 않나

한·미·일 정상회의서 북핵 대응 한 단계 더 끌어올리길

새만금 잼버리 총체적 난맥상 철저 규명해 교훈 삼아야

▲ 아시아투데이 = 휴간

▲ 조선일보 = 입시 비리 조국 "차라리 남산 보내라" 민주화 투사 흉내 내나

호우 기준 못 미친 비에 야영지 물바다, 태풍 우려 철수로 천만 다행

"경제 보복 자초했다"던 尹정부서 몰려드는 中 관광객

▲ 중앙일보 = 존폐 기로의 LH, 이번이 환골탈태의 마지막 기회

잼버리 감사, 나랏돈 1171억 어디에 썼는지부터 시작하라

▲ 한겨레 = 공영방송 이사장 전격 해임 시도, 이명박 시즌2 보는 듯

해병 수사 외압 의혹, 군검찰 맡겨선 의구심만 커질 뿐

잼버리 파행, 재발 않으려면 책임 소재 낱낱이 밝혀야

▲ 한국일보 = 교사 괴롭힌 직원 파악하고도 구두 경고만 한 교육부

'50년 주담대' 등 방만한 가계대출 증가경로 정비할 때

한미일 연합훈련 정례화, '대북 억지' 벗어나지 않아야

▲ 디지털타임스 = 60대 노인도 50년 주담대…가계부채 관리 구멍 생겨선 안 된다

여야 잼버리 부실 네 탓 공방…샅샅이 조사해 책임소재 밝히라

▲ 매일경제 = 판사 정치 성향 따라 판결 좌우된다면 누가 법의 정의를 믿겠나

쌓이는 한전 적자, 대한민국 전력 인프라가 망가지고 있다

잼버리 4만 대원 서울로 이동해 K팝 폐영식, 유종의 미 거뒀다

▲ 브릿지경제 = 리더십 부재 극복 이상의 큰 과제 떠안은 KT

▲ 서울경제 = 巨野, '조국의 강' '팬덤의 늪' 벗어나야 혁신의 길 갈 수 있다

'탈원전' 폐기하고 원자로 10기 새로 짓겠다는 스웨덴의 교훈

규제·노동·세제 개혁 외면하면 K제조업 미래 없다

▲ 이데일리 = 우여곡절 속 막 내린 잼버리…소모적 정쟁 덧칠 말아야

'툭'하면 터지는 은행권 대형 비리…내부 통제, 누가 믿나

▲ 이투데이 = 제2 '새만금 잼버리' 없도록 백서 만들자

▲ 전자신문 = 금융사고 방지 시스템 마련돼야

중국 저가 TV 가볍게 봐선 안 돼

▲ 한국경제 = 李대표 검찰 조사에 여당이 안절부절못한다는 코미디

43년 만에 탈원전 접은 스웨덴…산업 경쟁력 추락엔 누구도 못 버텨

캠프 데이비드 회동…한·미·일 협력의 역사적 전기 기대

▲ 대한경제 = 내년에도 피할 수 없는 세수 부진, 고강도 지출 구조조정해야

정부가 초래한 안전관리자 수급난, 수습은 업계 몫

▲ 파이낸셜뉴스 = 정신 못차린 LH, 부실 숫자도 엉터리라니

잼버리 대회 계기로 공직사회 대대적 혁신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