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있는 약초 이야기]④'제2의 인삼·우주비행사 식품' 오가피

  '한 줌 오가피를 얻는 게 금은보화 한 마차를 얻는 것보다 낫다.'

 중국 명나라 본초학 권위자인 이시진은 '본초강목'에서 오가피의 값어치를 이렇게 설명했다.

 오가피는 오갈피나무의 뿌리껍질로 우리나라 '동의보감'에 '허리나 척추가 아프거나 다리가 쑤시고 저린 것, 관절이 아프고 절룩거리는 것을 고쳐 세 살이 되도록 걷지 못하는 어린아이도 바로 걷게 한다'고 기술될 정도로 효능이 뛰어난 약초다.

 이처럼 오가피는 동서양 가릴 것 없이 예로부터 신경쇠약, 건망증, 고혈압, 산후 자양강장제, 피로해소제 등으로 폭넓게 사용됐다.

 오가피는 인삼과 같은 과에 속하는 식물로 인삼과 유사한 성분이 많이 포함돼 효능도 비슷하다.

 이런 오가피의 효능을 처음 과학적으로 규명한 나라는 구소련이었다.

재배 중인 오갈피나무

 구소련 약리학자 브레크만 박사는 전 세계의 이름 있는 강장제 260여 종을 수집한 뒤 이들 중 가장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홍경천, 인삼과 함께 오가피를 꼽았다.

 이후 구소련은 연해주 지역에 광범위하게 자생하고 있는 오가피 진액을 추출해 '시베리아 인삼'이라는 이름으로 수출하면서 우주비행사 건강보조식품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국내에서는 2002년 월드컵 당시 한국 선수들이 매일 3차례 토종 오가피를 섭취한다는 보도가 나면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실제로 이 식물에서 추출한 엘루데로사이드 성분은 근육 강화, 지구력 향상, 피로 해소 등에 효과가 좋아 운동선수들이 곧잘 복용하는 약초다.

 경남 산청지역에서는 오가피 감주로 류머티즘 관절염을 고쳤다는 사례가 전해지기도 한다.

 오가피, 누룩, 물로 만든 오가피 감주를 4개월 정도 하루 3번 식전에 먹어 심한 관절통도 나았다는 것이다.

 구소련이 주도해 재배·수출을 했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 오가피는 러시아와 중국, 일본 등 극동아시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오가피 약재

 한반도에서는 태백산을 따라 지리산까지 남하해서 덕유산을 거친 뒤 황해도로 북상하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산청에서는 농가 약 10곳이 13만5천111㎡ 면적에서 매년 5천㎏에 달하는 오가피를 생산 중이다.

 꽃은 자주색으로 8∼9월께 피며 과실은 검은색으로 익고 줄기에 갈고리 모양 가시가 있는 게 특징이다.

 주로 차와 약재로 사용되며 봄에 어린잎을 채취해 산나물로 식용하기도 한다.

 이밖에도 소주에 오가피 근피를 함께 넣어 숙성시킨 오가피주를 만들어 마시기도 하는데 특이하게 술이면서도 피로 해소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최근에는 음료 등 다양한 건강보조식품으로 개발해 보다 손쉽게 복용할 수 있는 소비문화를 형성했다.

 드물게 오갈피나무를 정원수로 이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향긋한 특유의 향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오가피는 기운을 보강하고 혈액순환을 돕는 등 예로부터 건강식품으로 애용돼 인기가 좋은 약초"라며 "나무 인삼이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몸에 좋으니 많은 관심을 가져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오갈피나무 꽃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