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3일 조간)

▲ 경향신문 = 해병대 사단장 면책 의혹, 국정조사와 특검으로 진상 밝혀야

이균용 지명자, 윤 정부 맞서 사법권 독립 지킬 자신 있나

국제사회 우려 끝내 외면한 일본 오염수 방류 강행 규탄한다

▲ 국민일보 = 日 오염수 24일 방류…국제사회 우려에 성실하게 응해야

이균용 새 대법원장 지명…첫 과제는 사법부 신뢰 회복이다

▲ 서울신문 = 흉악범죄 근절 방안 용두사미 안 돼야

日, 오염수 방류 투명성 확보에 최선 다하라

새 대법원장 검증, 사법 신뢰 회복에 초점 맞춰야

▲ 세계일보 = 제명 피하려 "불출마" 선언한 김남국, 자진 사퇴가 답이다

새 대법원장, '김명수 체제'가 무너뜨린 사법 신뢰 되찾길

'문제 팔이' 교사 297명 자진신고, 사교육 카르텔 뿌리 뽑아야

▲ 아시아투데이 = 기술 안보 경각심 깨운 중국산 장비 스파이칩

日 오염수 방류, 이젠 현장검증에 치중할 때

▲ 조선일보 = 킬러 문항 판매 교사들, 학교 수업에도 그런 열의 있었나

日 오염수 방류, 정부는 우리 해역 방사능 거의 매일 측정 발표해야

대법원장 후보 이균용, 무너진 사법 신뢰 다시 세울 막중한 책임

▲ 중앙일보 = 이균용 대법원장 후보 지명, 사법부 신뢰 회복이 핵심

오염수 방류 결정 일본, 국제사회에 한 약속 지켜야

▲ 한겨레 = 꼼수로 간판만 바꾼 전경련, 정경유착 회귀 우려한다

'40년 지기'를 대법원장 후보로 지명한 윤 대통령

역사에 죄짓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 길 터준 한국 정부

▲ 한국일보 = 北 '핵대전' 위협하며 위성 발사 도발 재개할 때인가

후쿠시마 오염수 내일 방류…'양해와 신뢰' 여전히 미흡하다

대법원장 후보자, 사법의 정치화 끊어낼 의지 보여야

▲ 대한경제 = 무너진 사법부 신뢰, 새 대법원장이 바로 세워야

전관 카르텔, 기준과 범위부터 명확히 정해라

▲ 디지털타임스 = 20대 청년 부채 적신호…일해서 갚도록 해야 연착륙 된다

인민군가 작곡한 정율성 기념공원 철회 요구에 광주시 응답해야

▲ 매일경제 = 日오염수 내일부터 방류, 철저한 감시로 국민 안심시켜야

2년 뒤엔 병장 월급이 소위보다 많아진다니

땅에 떨어진 사법부 신뢰 회복이 새 대법원장의 최우선 과제

▲ 브릿지경제 = 새 출발 한경협, 새 이름 걸맞은 경제단체 기대한다

▲ 서울경제 = 日 오염수 방류, 괴담 벗어나 과학 근거로 안전 점검 주력할 때다

새 대법원장, 정치에 휘둘리는 '기울어진 사법부' 바로잡아야

한경협, '민간 주도 역동적 경제' 위한 싱크탱크단체로 거듭나라

▲ 이데일리 = 주먹구구식 세수 추계, 언제까지 되풀이할 셈인가

日, 오염수 방류…'안전' 이유로 인접국 불안 외면 말아야

▲ 이투데이 =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日 정부 책임 무겁다

▲ 전자신문 = 디지털정부 성공 필수조건

정부, 日 오염수 국민 우려 직시해야

▲ 파이낸셜뉴스 = 새 대법원장 지명, 추락한 사법부 신뢰 회복 힘써야

日 오염수 방류 강행, 수산물 안심 대책 수립 급선무

▲ 한국경제 = 첫 북핵 대응 훈련…이제서야 시작된 '안보 정상화'

사법부의 '탈정치' 새 대법원장의 시대적 책무다

새 출발 한경협, 굳건한 자유시장경제 파수꾼 돼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