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이 보충제 '피토스테롤', 난청 완화 효과"

 식이 보충제 피토스테롤(phytosterol)이 노인성 난청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피토스테롤은 식물이 가지고 있는 스테롤을 통칭한다. 사람 몸에 있는 스테롤은 콜레스테롤 하나뿐이다. 콜레스테롤 혈중 수치를 낮추기 위해 피토스테롤 섭취가 권장되기도 한다. 인체에 흡수되면 소장 점막에서 콜레스테롤 흡수를 줄이는 데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의대 약리학 연구소의 마리아 고메스-카사티 교수 연구팀은 노인성 난청이 내이의 콜레스테롤 손실로 발생하며 이를 피토스테롤로 보충하면 난청을 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최근 보도했다.

 내이에 있는 감각 세포인 외유모세포(OHC: outer hair cells)는 소리의 파장을 변화시켜 소리를 증폭한다.

 나이가 들면 외유모세포의 이러한 능력이 떨어지면서 노인성 난청이 나타난다.

 연구팀은 난청이 외유모세포의 콜레스테롤 손실과 연관이 있을지 모른다는 생각에서 생쥐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외유모세포에 있는 단백질 'CYP46A1'의 양을 측정했다. 이 효소가 콜레스테롤을 분해하고 재활용하는 데 관여하기 때문이다.

 예상대로 늙은 생쥐의 내이에서 측정된 CYP46A1의 수치는 젊은 생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늙은 생쥐의 내이는 콜레스테롤이 부족했다.

 연구팀은 젊은 생쥐의 CYP46A1을 약물로 과도하게 활성화하게 만들었다. 그러자 젊은 생쥐에서 난청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어 뇌에서 콜레스테롤이 늘어나면 이 약물의 영향을 상쇄할 수 있는지를 시험했다.

 콜레스테롤 자체는 혈액을 통해 뇌로 들어가지 못한다. 그래서 연구팀은 뇌로 들어갈 수 있는 콜레스테롤 유사 성분인 피토스테롤을 사용했다.

 연구팀은 젊은 생쥐들에 CYP46A1을 활성화하는 약물과 함께 식이 피토스테롤을 3주 동안 투여했다. 그러자 외유모세포의 기능이 개선됐다.

 이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늙은 생쥐와 사람을 대상으로 같은 실험을 해봐야 할 것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어쨌든 노화가 내이의 외유모세포에 콜레스테롤 손실을 가져온다는 사실과 이러한 콜레스테롤 손실을 피토스테롤 보충제로 부분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는 사실이 이 연구로 밝혀졌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피토스테롤 보충제가 난청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최초의 개념 증명(proof-of-principle)이라고 연구팀은 평가했다.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과학 전문지 '공공과학 도서관-생물학'(PLOS B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AI 활용 제주 말미잘서 '슈퍼박테리아' 대응 물질 찾아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제주 바다에 사는 말미잘에서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슈퍼박테리아에 대응할 물질을 찾아냈다. 환경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전남대 조남기 교수 연구팀과 한국식품연구원 유귀재 박사 연구팀, 주식회사 인실리코젠 연구팀과 함께 상처와 폐 질환 치료에 효능을 지닌 항균 펩타이드를 개발하고 지난 1월 특허로 출원했다고 밝혔다. 항균 펩타이드는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곰팡이를 죽이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작은 단백질이다.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균에도 효과가 있고 내성이 잘 생기지 않아 장기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항생 물질이다. 이번에 개발된 항균 펩타이드는 폐렴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녹농균을 제거하는 데 특히 효능을 보였다. 상처를 치료하는 데 시험한 결과 혈관과 콜라젠이 재생되고 균에 감염된 상처 면적이 82%까지 줄었다. 폐 질환 치료 실험에선 녹농균을 81% 억제하는 등 기존 항생제와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이 항균 펩타이드는 제주 바다에서 자생하는 '별란말미잘'에서 유래한 천연물질로 만들어졌다. 연구진은 AI와 '분자 도킹 기술'을 활용해 2만8천건의 단백질 서열 정보를 분석해 11건의 항균 물질 기능성 후보군을 빠르게 도출한 뒤 실험을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