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멸종시킨 독감 바이러스…3가 백신 전환 시작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달 28일 북반구의 2025~2026년 인플루엔자(독감) 백신 바이러스 구성 권장 사항을 발표함에 따라 백신 기업들이 올해 하반기 독감 시즌 준비에 나섰다.

 WHO는 해마다 2월과 9월 북반구와 남반구 독감 시즌을 대비해 전문가 회의를 거쳐 다음 시즌 백신 구성을 논의한다.

 WHO는 A형 H1N1, A형 H3N2와 B형 빅토리아 계열 등 3가 백신을 권장하고, 4가 백신에는 B형 야마가타 계열을 추가하는 것을 권장했다.

 4가 백신으로 예방하는 야마가타 계열이 2020년 3월 이후로 사라지면서 지난해 WHO가 이를 배제하는 것을 권고하면서다.

 코로나19 발발로 독감 바이러스 전체가 약세를 보인 가운데 2019년과 2020년 빅토리아 계열 대비 약세를 보여왔던 야마가타 계열이 균주 감시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이다.

호주 멜버른 WHO 독감 센터에 제출된 호주의 2000~2024년 B형 독감 계통 비율

 야마가타 계열은 2018년 전 세계 B형 독감 바이러스의 90%를 차지하며 우세했지만 2019년부터 10% 아래로 떨어졌고, 2020년 3월 이후에는 백신 균주와 같은 검체 외에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

 때문에 학계에서는 균주 감시가 진행되지 않은 국가가 많은 만큼 멸종을 선언하기는 힘들지만, 사실상 멸종 직전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그러면서 4가 백신을 3가로 변경해야 할지 아니면 4가 백신의 성분을 조정할지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칸타 수바라오 호주 WHO 인플루엔자 연구협력센터 박사는 지난해 11월 국제학술지 'npj 백신'에 3가 백신으로 변경할 경우 더 많은 독감 백신을 생산할 수 있고, 백신 성분 권고를 더 빨리 내릴 수 있어 유행 바이러스에 대한 검토에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4가 백신에 A형 바이러스를 추가하거나 개선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며, 특히 A형 H3N2 백신 효능이 수년 동안 떨어지는 점을 지적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코로나19의 몇 안 되는 긍정적 효과로 사라진 야마가타 B 바이러스의 유출 등을 최대한 차단해 재등장을 막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수바라오 박사는 "과학자들과 실험실은 바이러스 샘플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해 재등장 가능성을 줄여야 한다"며 "10년 후에는 국제 패널 재검토 등을 통해 실험실에서 야마가타 바이러스 보관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활습관병은 의사가 못고친다"…40년간 감기 안걸린 국민의사
인생의 95%는 건강으로 결정된다. 권력과 명예, 부(富)는 부차적 요소다. 인간에게 생명은 제일 중요한 자산인데, 이 생명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건강이기 때문이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타고난 것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인터뷰이들은 소식(小食)하고, 운동하고, 술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담배를 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뷰이들은 이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 대부분은 흡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이 건강 비결을 모르지는 않는다. 다만 실천을 못 하기에 문제가 생긴다. 실천력도 타고나는 측면이 강하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보람도 건강에 중요하다고 인터뷰이들은 전한다 적지 않은 사람이 정년퇴직 후에 건강을 잃거나 빨리 노화된다. 이는 보람, 즉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턱대고 부지런하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인터뷰이들은 대체로 이런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전략적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노력도, 전략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