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이면 성인 60%, 아동·청소년 30% 이상 과체중·비만"

국제 연구팀 "향후 5년간 급증 예상…흐름 바꾸려면 긴급 대응 필요"

 향후 5년간 세계적으로 비만과 과체중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2050년에는 현재 성인(25세 이상)의 60%, 아동·청소년(5~24세)의 30% 이상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호주 머독 어린이 연구소 제시카 커 박사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8일 의학 저널 랜싯(The Lancet)에서 세계 204개 국가·지역 주민의 1990~2021년 과체중·비만 비율을 추정하고 다양한 데이터로 2022~2050년 과체중·비만을 예측,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과체중·비만 기준은 체질량지수(BMI)를 사용, 18세 이상은 과체중 BMI 25kg/㎡ 이상 30kg/㎡ 미만, 비만은 BMI 30kg/㎡ 이상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성인과 아동·청소년의 과체중·비만 비율이 30년간 2배 이상 증가, 과체중·비만 인구가 성인은 1990년 7억3천100만명에서 2021년 21억1천만 명으로, 아동·청소년은 1억9천800만 명에서 4억9천300만 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이런 추세가 계속되고 비만에 대한 긴급한 정책 개혁과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2050년에는 세계 성인의 약 60%인 38억 명과 아동·청소년의 3분의 1인 7억4천600만 명이 과체중 또는 비만이 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세계적으로 아동·청소년의 비만 증가 속도는 과체중 증가 속도를 앞지를 것으로 보이며 2022~2030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런 현상은 남자 아동·청소년에서 더 두드러져 2050년 5~14세 남자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16.5%로 과체중 비율(12.9%)을 크게 앞설 것으로 예상됐다.

 세계 성인 과체중·비만 인구(2021년 기준)는 절반 이상이 중국(4억2천만 명), 인도(1억8천만 명), 미국(1억7천200만 명), 브라질(8천800만 명), 러시아(7천100만 명), 멕시코(5천800만 명), 인도네시아(5천200만 명), 이집트(4천100만 명) 등 8개국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러나 2050년까지 비만 아동·청소년 3명 중 1명(1억3천만 명)이 북아프리카·중동과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등 두 지역에 분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지역이 보건·경제·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2050년 과체중·비만 인구 분포는 중국 6억2천700만 명, 인도 4억5천만 명, 미국 2억1천400만 명 등으로 예상됐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는 빠른 인구 증가로 그 수가 250% 이상 늘어 5억2천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2050년에는 세계 성인 비만 인구의 4분의 1 정도가 65세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돼 이미 큰 부담을 안고 있는 의료 시스템에 부담이 가중돼 자원 부족 국가의 의료 시스템에 큰 피해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세계적인 과체중·비만 유행을 막으려면 즉각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중요한 것은 최근 세대가 이전 세대보다 체중이 더 빨리 증가하고 비만이 더 일찍 발생,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 합병증이 더 어린 나이에 발생할 위험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커 박사는 "하지만 지금 행동한다면 세계 어린이·청소년의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많은 국가에서 많은 사람이 과체중에서 비만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을 기회가 얼마 남지 않았다"며 "특히 저소득·중간 소득 국가에서는 비만 예방이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궁극적으로 전 세계 비만율이 계속 급증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세계 식량 시스템 내에서 식단을 변화시키고, 사람들의 영양, 신체 활동, 생활 환경 개선 등을 포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더 강력한 정치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출처 : Lancet, Jessica Kerr et al.,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prevalence of adult overweight and obesity, 1990-2021, with forecasts to 2050: a forecasting study for the Global Burden of Disease Study 2021', http://dx.doi.org/10.1016/S0140-6736(25)00355-1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 혈액검사…속도·정확도 높여
혈액검사 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해 속도를 높이고 정밀한 결과를 도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기계로봇공학과 양성 교수 연구팀이 혈류 상태에서 적혈구 배열과 적혈구 내부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센서 기술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이 기술은 실제 혈액이 흐르는 상태에서 적혈구의 배열 방향성과 세포 내부 수분 구조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다양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에 대한 물질의 반응을 측정해 유전 특성이나 분자 구조 변화 등을 분석하는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과 미세 채널로 액체를 정밀하게 제어·분석하는 마이크로 플루이딕 기술을 결합했다. 특히 적혈구 배열 상태를 정량화할 수 있는 선호 배열 지수 개념을 도입했다. 기존 방식은 대부분 정지 상태의 혈액을 분석했기 때문에 적혈구 응집이나 침전 현상이 발생해 정확도가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기존 이론 모델은 적혈구 배열 상태나 헤모글로빈 수화 구조를 고려하지 않아 임피던스 스펙트럼(저항 범위) 해석에도 제약이 따랐다. 연구팀은 새로운 기술로 적혈구 수·헤모글로빈 농도·헤마토크릿 등 혈액의 상태와 기능을 평가하는 주요 혈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