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9일 조간)

▲ 경향신문 = 수사·재판 기록도 보겠다는 국정원, 다시 '빅브러더' 꿈꾸나

금감원 '라임 재조사' 야당 표적 시비, 진상규명 공정해야

장차관의 습관적 국회 불출석, 입법부 무시다

▲ 국민일보 = 30년 오염수 방류에 대비한 검증 시스템 구축해야

안보 위기라는데 국방부는 이해 못할 흉상 논쟁 중

▲ 서울신문 = 대통령실 복무 감찰 부른 공직사회 복지부동

여야 연찬회서 머리 맞댈 총선 제1전략은 경제다

불안 노리는 오염수 가짜뉴스 철저히 차단해야

▲ 세계일보 = 교권 붕괴 책임 큰 전교조·진보 교육감, 불법행위 선동해서야

방탄에 갇힌 이재명 대표 1년…철저한 성찰과 쇄신 절실

한·미·일 공조로 멀어진 韓·中, 정상회담 열어 관계 개선하길

▲ 아시아투데이 = '라임펀드' 정치권 유입 의혹, 철저히 밝혀야

교사 연가 투쟁, 정치집회 변질 경계해야

▲ 조선일보 = 문제마다 개입하는 文, 먼저 부끄러움을 알길

너무나 황당한 '새만금 공항 신설' 타당성 조사라도 해야

차분한 수산시장, '방류수 괴담' 주장 안 먹혀들고 있다

▲ 중앙일보 = 경찰은 치안 전념, 대공 수사권은 국정원 존치로 가야

공영방송, 정파나 노조 편 아닌 국민 품으로 돌려주길

▲ 한겨레 = 금감원 정치 이용 의혹, 이복현 원장은 소명하라

교육 당국, '공교육 멈춤' 엄단 대신 추모 의미 헤아려야

독립 영웅 흉상 철거도 '국방부 결정'이라는 윤 대통령

▲ 한국일보 = 청년들의 암울한 결혼·출산 인식…비혼 출산 포용할 때

부채 200조 한전, 정치인 사장이 정상화할 수 있겠나

보궐선거 출마 수순 밟는 김태우…여당 공천 말아야

▲ 디지털타임스 = 신임 李방통위원장, 오직 공정의 잣대로 현안 풀어나가길

원희룡 "LH·국토부 카르텔 근절"…대수술로 환부 도려내야

▲ 매일경제 = 민생 팽개치고 민주당 사당화한 이재명의 1년

노조 달래려 전용차에 수억 금품 지원, 사측도 법과 원칙 지켜야

홍범도 흉상 존치하고 정율성 공원 중단하는 게 상식이다

▲ 브릿지경제 = '반백년 대출' 규제, 가계부채 '구제' 카드인가

▲ 서울경제 = 오염수 방류에도 차분한 수산물 시장…野 '선동 정치' 멈춰야

청년 3명 중 1명만 "결혼", 출산·양육 지원 '매력 국가' 시급하다

노조 전용車에 수억 현금 지원까지…노사 담합 구조 뿌리 뽑아라

▲ 이데일리 = 더 빨라진 성장률 0%대 전망…위기 바로 봐야 답 있다

퇴임 직전 장기 미제 전담법관 도입…보여주기 아닌가

▲ 이투데이 = 비대면 진료 좌초 위기, 또 짓밟히는 혁신

▲ 전자신문 = 사이버 10만 인재가 능사는 아니다

홈쇼핑 블랙아웃 막아야

▲ 한국경제 = 갈 길 먼 노동 개혁, 직무급제 하나 도입도 이리 어려운가

공영방송 개혁 천명한 이동관, 이제 행동으로 보여줘야

'AI 인사이드'가 산업·기업의 명운 가른다

▲ 대한경제 = '철근누락아파트' 책임, 시공사 이상으로 LH에도 물어야

어려울 때일수록 더 중요해지는 산업기술 보호

▲ 파이낸셜뉴스 = 차기 산업장관·한전 사장, 한전 구조조정에 자리 걸라

LH 셀프 개혁 대신 외부 기관에 맡겨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복지장관, 자살대응 현장 실무자 간담회…"예방센터 보강"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자살예방센터를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정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 예방 분야 현장 실무자 간담회를 열어 자살 예방 사업 현황과 애로 사항 등을 논의한 뒤 이같이 말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조용한 재난"이라며 "고립의 사회에서 연결의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현장의 신속한 위기 대응과 정부의 정책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살예방센터는 자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고위험군 발굴, 자살 시도자 등의 위기 지원, 자살 사망 사후 대응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전국에 255개소가 있지만, 예산 부족 등으로 인해 55개소만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나머지는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소속된 팀 등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한다. 복지부는 자살 사망자 유족에 대한 원스톱 심리·법률·일시 주거·행정 처리 지원 서비스 지역을 9개에서 12개 시도로 확대했으며 전국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배활립 서울 중구 정신건강복지센터장은 "관련 인력이 자살예방센터 1개소당 3.6명으로 열악해 고위험군을 밀착 관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박준희 서울 노원경찰서 형사와 홍승택 서울시 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