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된 '무릎연골' 치료 나노소재기술 기발

전남대 연구팀, 첨단 재생 나노소재 원천기술

  전남대학교는 융합바이오시스템기계공학과 김장호 교수 연구팀과 의과대학 선종근 교수 연구팀이 손상된 무릎 연골을 치료할 수 있는 첨단 재생 나노소재 원천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토끼를 이용한 전임상 실험을 통해 손상된 무릎 연골에 첨단 재생 나노소재를 이식하자 연골 재생이 촉진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재생된 연골도 정상 연골에서 주로 보이는 콜라겐(Collagen)II 발현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첨단 재생 나노소재에 줄기세포를 함께 이식했을 때, 연골세포 분화, 성장인자 분비 및 세포외기질 형성 촉진과 함께 재생된 연골이 정상적인 연골과 유사한 구조와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는 것도 밝혀냈다.

 연구 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저널인 바이오 머테리얼즈(Biomaterials, IF:14)에 게재됐다.

 연구팀 관계자는 "손상된 무릎 연골 치료를 위한 첨단 재생 나노소재 개념을 세계 최초로 제안한 것에 의의가 있다"며 "본 연구가 기술 개발로만 끝나지 않고 많은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후속 연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중국 온라인쇼핑 '알리·테무' 어린이용 스마트워치 줄에서 기준치 121배 납 검출
중국 온라인 쇼핑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스마트워치 줄(스트랩)에서 국내 기준치의 121배에 달하는 납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테무·알리익스프레스에서 판매하는 스마트워치 줄과 공갈 젖꼭지 등 16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검사를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검사 결과 스마트워치 줄 2종에서 국내 기준을 초과하는 납 함유량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2개 제품 모두 본체와 줄을 이어주는 금속 스프링 부분에서 국내 기준을 각각 121배, 74배 초과하는 납이 검출됐다. 납은 안전기준 이상으로 노출되면 생식 기능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영유아가 입에 직접 무는 공갈 젖꼭지 1개는 물리적 요건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 공갈 젖꼭지는 36개월 미만 어린이용 제품에 사용할 수 없는 유리 소재의 장식이 있어 질식 등 사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열성 시험에서도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공갈 젖꼭지 걸이 3종은 줄 길이가 국내 기준보다 최대 2배 길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제품에서 작은 부품이 분리되는 등 물리적 시험 항목에서도 국내 기준에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 제품이 물리적 요건에 부적합한 경우 질식 등 사고 위험에 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