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환자 보호자 의약품 사용 교육 부족…부적절 투여 우려"

  어린이 환자의 안전한 의약품 사용을 위한 보호자 대상 교육이 부족하다는 설문 결과가 나왔다.

 김경임 고려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와 최경희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교수 공동 연구팀은 한국임상약학회지 최근호에 게재한 논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보건·의료 관련 시민단체에서 의약품 안전 사용 교육을 시행하는 서울·경기 소재 유치원·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린이의 보호자와 서울 소재 지역 약국을 방문하는 10세 미만 어린이를 양육하는 보호자 150명을 대상으로 소아 의약품 사용 관련 교육을 받은 적 있는지 등을 조사했다.

 이어 교사(12%·18명), 어린이(4.7%·7명) 등이라고 답한 비율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관련 교육이 부족한 상황에서 부적절한 약물 투여로 문제를 겪는 어린이 환자가 적지 않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앞서 가정 내 약물에 의한 국내 어린이 중독사고 실태를 연구해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의학도서관 홈페이지에 게재된 가천대 의학전문대학원팀의 논문에 따르면 관련 사고 127건 중 부적절한 의약품 복용에 의한 사례 비율이 37%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연구팀은 전했다.

 연구팀은 "어린이 환자의 약동학(약의 인체 흡수,대사 등을 연구하는 분야), 약력학(약이 인체이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분야)적 특성은 성인과 차이가 있다"며 "(의약품이)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충분한 효과·안전성을 확보해 허가받아 사용되더라도 어린이 환자에게 투여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린이 환자 보호자를 대상으로 약물 사용과 관련해 전문가 소견, 안전성 확보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홍보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