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세 미만 암 급증…"세계 연간 신규 암환자 30년새 79% 증가"

英 연구팀, 1990~2019년 분석…"2019년 326만명 발생·106만명 사망"

 

 지난 30년간 전 세계 50세 미만에서 연간 신규 암 환자가 7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빠르게 증가한 암은 기관지암·전립선암이었고 사망자가 많은 암은 유방암·기관지암·폐암·장암·위암 등이었다.

 영국 에든버러대 리쉐 교수팀은 11일 의학저널 'BMJ 종양학'(BMJ Oncology)에서 1990~2019년 204개 국가·지역에서 29개 암에 대해 실시된 '세계 질병 부담'(Global Burden of Disease) 연구 데이터 분석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암은 노년층에서 더 흔한 경향이 있지만 1990년대 이후 50대 미만의 발병률 증가를 시사하는 증거들이 많이 나왔다며 이 연구는 이런 추세를 전 세계적인 관점과 젊은 성인의 위험 요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세계 질병 부담 연구 데이터에서 14~49세 연령층을 대상으로 암 신규 발병, 사망, 건강 결과(장애 보정수명:DALY), 기여 위험 요인 등을 조사하고, 1990년에서 2019년 사이의 연간 변화율을 추정했다.

 특히 유방암은 세계 인구 10만명당 발생 13.7명, 사망 3.5명으로 가장 많은 조기 발병 사례와 사망 비중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사망자가 많고 건강 큰 영향을 미치는 암은 기관지·폐·위·장암이었고, 사망률이 가장 가파르게 증가한 암은 신장암과 난소암이었다.

 이 기간 발생률이 가장 빠르게 증가한 조기 발병 암은 기관지암과 전립선암으로 각각 연간 발병 건수 증가율이 2.28%와 2.23%를 기록했다. 반면 조기 발병 간암은 매년 2.88%씩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조기 발생 암 발병률과 사망률

 2019년 조기 발병 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북미(10만명 당 273.2명), 가장 낮은 곳은 사하라 이남 서부 아프리카(10만명 당 37.4명)이었다.

 조기 발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은 곳은 오세아니아(10만 명당 39.1명), 동유럽(10만 명당 33.7명), 중앙아시아(10만 명당 31.8명) 등이었고, 낮은 지역은 고소득 아시아·태평양 지역(10만 명당 16.3명)이었다.

 연구팀은 지난 30년간 관찰된 추세를 바탕으로 2030년에는 전 세계 조기 발병 암 신규 환자 수와 관련 사망자 수가 각각 31%와 21%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40대 연령층이 가장 큰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들은 50세 미만의 암 발병 증가에는 유전적 요인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50대 미만의 암에는 붉은 육류와 소금이 많고 과일과 우유가 적은 식단, 알코올, 흡연 등이 주요 위험 요인이고 신체활동 부족, 과체중, 고혈당 등도 기여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벨파스트 퀸즈대(QUB) 공중보건센터 애슐리 해밀턴 교수는 함께 게재된 논평에서 "이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50대 미만에게 영향을 미치는 암 유형에 대한 통념을 뒤집는 것"이라며 "생활 습관 요인이 이런 추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지만 이를 완전히 이해하기는 아직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어 "조기 발병 암에 대한 최적의 치료 전략을 찾는 것과 함께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한 조치가 시급하다"며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차원의 파트너십, 협업, 자원 분배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비급여 항목' 보고제도에 의료기관 95% 참여…나머지 5% 과태료 부과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진료' 항목 보고제도에 전체 의료기관의 95%가 참여했다고 보건복지부가 10일 밝혔다. 복지부는 올해 4월 15일 비급여 보고 제도를 전체 의료기관 7만2천815곳을 대상으로 확대 시행했다. 지난해에는 병원급 의료기관 4천245곳만 참여했다. 비급여 보고제도는 의료법 등에 따라 의료기관이 건강보험 비급여 진료 비용과 내역 등을 보건당국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한 제도다. 비급여 진료는 건강보험 혜택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진료비를 전액 부담하는데, 이런 비급여 현황을 파악해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번에 정보를 보고하지 않은 의료기관 5%는 의료법에 따라 과태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올해 보고 기간(4월 15일∼6월 30일)에 각 의료기관은 3월 진료내역 중 비급여 항목별 단가, 빈도, 상병명, 수술명 등을 보고했다. 올해 보고 항목은 총 1천68개로, 지난해(594개)보다 474개 늘었다. 복지부는 이번에 모은 비급여 보고 자료를 분석해 특정 질환 치료·수술 비용이나 진료 안전성·효과성 등 필요한 정보를 올해 안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암 치료용 가속기 전원장치 국산화 성공
한국원자력의학원은 5일 선택적 암 치료에 쓰이는 가속기 핵심 장치인 고전압 전류장치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원자력의학원은 방사선의학연구소 홍봉한 의료용가속기연구팀장 연구팀이 붕소중성자 포획 치료용 양성자 2.4메가전자볼트(MeV)급 탄뎀 가속기 1천200㎸ 고전압 전원장치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탄뎀 가속기는 전기장으로 입자를 가속해 이온빔 분석이나 중성자 포획 치료용 중성자를 만드는 데 쓰는 장치다.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암세포에 집중되도록 만든 붕소 약물을 암 환자에게 주입한 후 가속기로 만든 중성자를 쏘아 붕소가 방사선을 방출하도록 해 주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비수술 치료법이다. 원자력의학원은 이 치료법에 필요한 고출력 양성자 가속기를 규모가 작고 전력을 적게 써 효율적인 대전류 양성자 탄뎀 가속기로 대체하는 연구를 2019년부터 진행 중이다. 이번에 개발한 전원장치는 입자 가속을 위한 에너지를 가속관에 전달하는 핵심 장치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진경 원자력의학원 원장은 "탄뎀 가속기의 핵심 장치 개발 성공으로 첨단 붕소 중성자 포획치료기의 국내 개발을 앞당겨 해외 선도 기술과의 격차를 줄이고 난치 암 환자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