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근경색, 문제 있는 관상동맥 전체 치료가 최선"

 노인의 심근경색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 중 막힌 혈관만이 아니라 좁아진 다른 혈관 모두를 치료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이 든 노인 심근경색 환자의 치료는 심근경색의 원인이 된 '주범'(culprit) 관상동맥만을 골라 막힌 부분을 재개통시키고 다른 관상동맥은 부분적으로 막힌 것이 있어도 그대로 놔두는 게 보통이다.

 다른 기저 질환이 있거나 몸이 쇠약한 상태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탈리아 페라라(Ferrara) 대학 의대 심장 전문의 시모네 비스칼리아 박사 연구팀은 '주범' 동맥만이 아니라 부분적으로 막힌 다른 동맥들도 모두 치료해야 건강이 개선되고 생존 가능성도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심근경색 남녀 환자 1천445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주범' 관상동맥만을 재개통시키거나 부분적으로 막힌 다른 관상동맥까지 모두 재개통시키고 예후를 지켜봤다. 환자의 절반은 나이가 80세 이상이었다.

 이는 관상동맥 전면 재개통 시술이 '주범' 관상동맥에만 국한된 치료보다 이러한 위험이 36% 낮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전체적으로 ▲사망 ▲심근경색 또는 뇌졸중 재발 ▲또 한 번의 관상동맥 재개통 시술 중 하나를 겪은 환자는 관상동맥 전면 재개통술 그룹이 16%로 '주범' 관상동맥 재개통술 그룹의 21%보다 27% 포인트 적었다.

 시술 자체는 두 그룹 모두 안전한 것으로 밝혀졌다.

 다른 심장 전문의들도 심근경색 치료는 환자의 연령과 무관하게 부분적으로 막힌 관상동맥 모두를 치료해야 한다는 데 동의한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대학 심근병증 센터장 그렉 포나로 박사는 심근경색 치료는 혈관이 상당히 막힌 모든 관상동맥을 전면 재개통시키는 것이 '주범' 동맥 치료에만 집중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는 것이 최근의 여러 임상시험을 통해 확실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 결과는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유럽 심장 학회 학술회의에서 발표되는 동시에 미국의 의학 전문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빅5'병원 중환자 비율 50% 이상…일반병상 최대 15% 감축
정부가 '빅5' 병원 등 상급종합병원에 대한 '대수술'에 나섰다. 큰 틀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동네 병원은 경증환자에 집중하도록 한다. '빅5 쏠림'을 더는 방치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상급종합병원의 일반병상은 최대 15% 줄이고, 중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늘린다. 대신 중증수술 수가를 대폭 올리고, 당직 수가를 신설하는 등 중증환자 치료에 성과를 올리수록 보상을 더 많이 받도록 한다. 의료사고에 따른 환자와의 갈등을 줄이고자 병원 내 의료사고 예방 책임을 병원장이 맡는다. '환자 대변인'이 신설돼 의료사고 피해자를 돕는다. ◇ '동네의원과의 경쟁' 탈피…상급종합병원 구조 바꾼다 정부는 1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를 열고 오는 9월부터 상급종합병원 구조 전환 시범사업을 시행하기로 했다. 정부는 상급종합병원이 처치 난도가 높고 생명이 위중한 환자를 전문적으로 진료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노연홍 의개특위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적어도 (상급종합병원의) 중증환자 비율을 50% 이상으로, 가능하면 많이 늘려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현장과 많은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수치가 잡힐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에 따르면 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횟감용 칼과 도마는 구분…굴·전복은 85도 이상에서 가열"
오유경 식품의약품안전처장과 송명달 해양수산부 차관이 12일 서울 마포구 마포농수산물시장을 방문해 여름철 수산물 안전 관리 현황을 점검했다. 오 처장과 송 차관은 활어가 보관된 수족관 물을 채수해 식중독 신속 검사 차량에서 비브리오균 등 식중독균 검사를 진행했다. 식중독 신속 검사 차량에서는 실시간 유전자 증폭 장치를 활용해 식중독균 17종을 4시간 안에 동시 검사할 수 있다. 비브리오균은 바닷물 온도가 18∼20도로 상승하는 여름철에 증가하며, 해당 균에 오염된 굴·전복·활 가리비 등 어패류를 생식할 경우 식중독이 발생한다. 식약처는 비브리오균 식중독 예방을 위해 2017년부터 활어 취급 음식점을 대상으로 수족관 물을 검사하고 있다. 식약처와 해양수산부는 이날 시장 상인을 대상으로 횟감용 칼과 도마를 구분해 사용하는 등 식중독 안전 관리 수칙을 안내했으며, 소비자에게는 어패류 구매 후 즉시 냉장·냉동 보관한 뒤, 조리 전 수돗물에 세척해 85도 이상에서 충분히 가열해 섭취해 달라고 당부했다. 오 처장은 "장마 기간에는 온도와 습도가 높아 식중독 발생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에 대비해 유통 수산물 수거·검사 등 선제적인 안전 관

메디칼산업

더보기